[Hinews 하이뉴스] 현대그룹 산하 임당장학문화재단이 KAIST 우주 연구 인프라 강화를 위해 5억 원을 기부했다. 이번 기부는 고(故) 정몽헌 전 현대그룹 회장의 우주기술 발전 의지를 잇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왼쪽)이 21일 임당장학문화재단 KAIST 발전기금 감사패 전달식에서 이광형 KAIST 총장과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이미지 제공=현대그룹)
현대그룹에 따르면 KAIST는 지난 21일 임당장학문화재단의 5억 원 기부에 대한 감사의 뜻을 전하고자 서울캠퍼스 총장실에서 감사패 전달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이광형 KAIST 총장, 한재흥 KAIST 우주연구원장이 참석했다.
현정은 회장은 “고 정몽헌 회장께서는 과학과 우주에 대한 깊은 열정으로 KAIST 인공위성연구소의 발전을 지원하셨다”며 “이번 환경 개선 사업이 고인의 뜻을 이어 한국 우주기술의 발전에 기여하고, 더 많은 젊은 인재들이 꿈을 키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부금은 KAIST 대전 본원 내 ‘정몽헌우리별연구동’의 환경 개선에 사용된다.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까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장비 운반 효율을 높이고 연구원과 방문객의 이동 편의성을 동시에 개선할 계획이다. 2008년부터 운영돼 온 홍보관 역시 최신 디지털 전시 기법을 적용해 우주 연구 역사와 성과를 체험형 전시 공간으로 재구성한다.
‘정몽헌우리별연구동’은 고 정몽헌 회장이 국내 우주 연구의 발전을 위해 기부해 설립된 곳으로, 이를 계기로 국내 최초의 대학 내 우주 연구 전담 조직이 출범했다. 이후 현정은 회장 또한 연구 지원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왔으며, 연구동은 정몽헌 회장 5주기를 맞은 2008년에 현재 명칭을 갖게 됐다.
연구동 내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1989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대학 기반 우주 연구 전담 기관이다. 우리별 1호를 시작으로 차세대소형위성, 초소형군집위성 등 다양한 위성을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소형위성 연구기관으로 성장했다. 현재 약 80명의 연구원이 상주하며 첨단 소형위성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한편 임당장학문화재단은 고 정몽헌 회장의 모친 김문희 이사장이 설립한 재단으로, 현재는 현 회장의 장녀 정지이 현대무벡스 전무가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 현대그룹은 3대에 걸쳐 교육·문화·예술·체육 분야 지원과 인재 육성 등 사회공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