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은 자체 개발 지수 브랜드 ‘iSelect’ 시리즈의 신제품인 ‘iSelect 코리아원자력 지수’를 출시했다고 오늘 밝혔다. 이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코리아원자력 ETF’는 오는 19일 상장 예정이다.‘iSelect 코리아원자력 지수’는 국내 원자력 관련 기업 중 북미 수출을 주도하는 주요 기업들의 성과를 추종하도록 설계됐다.이 지수는 지난 7월 11일 기준 두산에너빌리티와 현대건설을 각각 25%씩 편입해 원자력 수출 대표 기업 비중을 최대 수준으로 반영했다. SMR(소형모듈원자로) 기자재 사업을 영위하는 비에이치아이까지 포함하면 국내 SMR 관련 기업의 지수 내 비중은 총 56%에 달한다.두산에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는 오는 10월 27일부터 3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SSG 2025’ 박람회 기간 동안 회원사 대상 ‘수출 지원 1:1 상담회’를 연다고 밝혔다.이번 상담회는 글로벌 임상시험수탁기관 뉴트라소스(Nutrasource)와 협력해 진행하며, 회원사들이 미국과 유럽 시장 진출에 필요한 규제, 인증 절차, 임상시험, 신규 식품 승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다.특히 미국 및 유럽 시장의 기능성 클레임 설정, GRAS·NDIN 인증 등록 절차 등 상담이 제공된다. 상담회 참가 신청과 자세한 정보는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산업진흥팀으로 하면 된다.건기식협회 관계자는 “해외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국내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수출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오는 8월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기능성 원료 수출지원 및 인정전략 콘퍼런스’를 연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건강기능식품 업체와 연구개발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기능성 원료 트렌드를 공유하고, K-건강기능식품의 수출 전략과 기능성 원료 인정·심사 절차 등 실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첫 번째 세션에서는 해외 건강기능식품 제도, 최신 글로벌 기능성 원료 연구 동향, 국내 기능성 원료의 해외 수출 사례를 소개한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국내 건강기능식품 정책 동향, 기준·규격 개정 현황, 기능성 원료 인정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이 베트남 하노이에 설립한 ‘H+인터내셔널 메디컬센터 헬스케어&폴리클리닉(H+하노이)’에 AI 기반 건강검진 IT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고 밝혔다.이번 프로젝트는 AI 헬스케어 스타트업 ‘모션랩스’와 협력해 진행됐다. 두 기관은 현지 의료 환경에 맞춘 건강검진 인프라와 IT 솔루션을 공동 설계하고, 자동화된 검진 프로세스를 실증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H+하노이에 도입된 ‘넥스업 AI(Nexup AI)’는 환자의 검진 전 과정을 자동화하고, 결과 리포트를 다국어로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특히 AI가 검진 데이터를 요약·분석해 시각화 리포트를 생성함으로써 환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의료진의 설명 부담을 줄여준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첫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하며 기존 관행과는 다른 파격적인 조건을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계약 상대는 미국 바이오텍 기업으로, mRNA 항암백신 특허에 대한 전 세계 전용 실시권을 확보하는 대신 총 3000억 원 규모의 마일스톤과 상업화 이후 15년간 연 10% 이상 로열티를 지급한다.특히 DXVX는 전임상, 임상시험, 생산 등 개발 비용을 거의 부담하지 않는 구조다. 대부분의 개발 리스크를 파트너사가 떠안으며, DXVX는 자산 가치를 유지한 채 수익을 확보하게 된다.여기에 임상 개발 중 제3자에게 기술을 재이전(서브라이선스)할 경우 수익의 50%를 DXVX가 공유하는 조항도 포함됐다. 이는 기술 가치가 높
하나제약은 마취제 신약 ‘Anerem’(제품명: 바이파보주)의 일본 수출을 시작하며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섰다고 지난 28일 밝혔다.이번 첫 선적을 기점으로 올해 안에 최대 30만 바이알 규모의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며, 이후 물량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일본 내 입지를 다진다는 전략이다. 더불어 유럽과 미국 등 주요 시장 진출도 모색할 방침이다.일본은 주사제와 같은 고위험 의약품에 대해 품질 기준이 특히 엄격한 시장이다. 하나제약은 이에 맞춰 PMDA 및 EU-GMP 수준의 생산 설비와 품질관리 체계를 구축해 이번 수출을 가능하게 했다. 회사 측은 이번 수출이 오랜 설비 투자와 품질 고도화의 성과라고 평가했다.하나제약은 글로벌
유한양행이 2024년 상반기, 또 한 번의 기록을 썼다. 반기 기준 사상 처음으로 매출 1조 원을 넘어선 것이다. 영업이익은 2분기 기준 190% 가까이 뛰었다.핵심은 단연 폐암 신약 ‘렉라자’다. 유한양행은 2분기 매출 5562억 원, 영업이익 456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8.1%, 190.1% 증가한 수치다. 상반기 누적 매출은 1조256억 원, 영업이익은 543억 원으로 집계됐다.실적 급등은 ‘렉라자’의 기술 수출이 이끌었다. 유한은 얀센에 렉라자 일본 판권을 넘기며 약 207억 원 규모 마일스톤 수익을 확보했다. 이 영향으로 2분기 라이선스 수익은 전년 대비 무려 4500% 넘게 증가한 255억 원을 기록했다.해외 매출도 탄력 받았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창사 이후 첫 글로벌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DXVX는 미국 바이오테크 기업과 mRNA 기반 항암백신에 대한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다고 30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약 3000억 원이며, 상업화 이후 별도 수익 분배 구조도 포함돼 있다.이번 계약으로 DXVX는 자체 개발한 mRNA 항암백신 물질 특허의 전 세계 전용 실시권을 파트너사에 제공한다.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을 통해 약 3천억 원을 수령하고, 이후 15년 이상 연간 매출의 10% 이상을 추가로 받는다. 회사 측은 향후 세일즈 마일스톤이 최대 1조3000억 원 이상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DXVX는 기술 이전 이후에도 전임상과 임상, 생
에이티센스가 미국 주요 유통사들과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에이티패치(AT-Patch)’ 및 분석 소프트웨어 ‘에이티리포트(AT-Report)’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계약은 뉴욕, 플로리다, 애리조나 등 3개 주에 향후 3년간 약 500억 원 규모(약 45만 대)의 제품을 공급하는 내용으로, 국내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기업이 미국에서 체결한 최대 수준의 계약이다.에이티센스는 2026년 약 10만 대 규모(약 100억 원) 납품을 시작으로 미국 2조 원 규모 시장에 본격 진입한다. 현재 미국 전역을 대상으로 추가 유통사와 협의 중이다.회사 측은 이미 FDA(미국), CE(유럽), PMDA(일본), MHRA(영국) 등 주요 국가 인허가를 획득했고, 30
메디컬 AI 기업 덴컴은 미국의 메디컬 IT 기업인 아스프로덴탈(Asprodental), 케이스노트 소프트웨어(Casenote Software), 벨미니(Velmeni)와 기술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AI 기반 음성 솔루션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계약을 통해 덴컴은 미국 중소형 치과의원을 시작으로 DSO(Dental Service Organization), 대형 클리닉까지 공급 범위를 넓히고, 내년 미국 시장에서 약 700만 달러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덴컴의 솔루션은 경량화 언어모델(sLLM)과 음성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치과 진료 시 의사의 문진 내용과 처방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해주는 AI 음성 차팅 기술이다. 소음 환경에 최적화된 딥러닝 모델과 치과 전문 용어 데
대웅제약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쿠웨이트 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중동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25일 밝혔다.이번 계약으로 나보타는 중동 다섯 번째 국가, 걸프만 연안 6개국 중 네 번째 국가에 진출하게 됐다. 앞서 대웅제약은 UAE, 사우디, 카타르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바 있다.쿠웨이트는 1인당 GDP가 약 3만2000 달러에 이르고 의료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중동 프리미엄 톡신 시장 공략의 전략적 거점으로 주목받는다. 대웅제약은 이번 계약을 계기로 걸프만 연안 전역으로 나보타 유통을 확대할 계획이다.대웅제약은 단순 제품 공급을 넘어, 현지 의료진 교육 및 학술 협력에 주력하고 있다. 웨비나, 트레이닝 프로
우리은행은 반도체, 인공지능(AI), 제조 로봇 등 정부 전략산업 분야 수출입 기업을 위한 금융지원을 확대하고자 ‘우리 성장산업 수출입 패키지’를 출시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이번 신상품은 혁신 성장기업과 우량 수출입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개발됐다. 우리은행은 수입 기업에는 수입신용장 개설을, 수출 기업에는 수출환어음 매입(OA·DA·DP) 등 다양한 거래에 대해 통합 한도를 적용함으로써 유연한 자금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됐다.지원 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 우리은행과 수출입금융 거래가 없는 신규 고객 가운데, 혁신 성장 품목을 생산하는 기업
(주)유영제약은 자사 골관절염 치료제 ‘레시노원(Resyno One)’이 4월 필리핀 식약처(PFDA) 허가를 받고, 8월 첫 수출을 앞두고 있다고 7일 밝혔다.레시노원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6개월 1회 투여 히알루론산 주사제로, 기존 다회 투여 제품 대비 환자 편의성과 주입 통증 완화 기술이 뛰어나다.이번 필리핀 허가로 유영제약은 대만, 인도네시아, 태국, 볼리비아 등 기존 허가 국가에 이어 해외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낼 계획이며, 현지 제약사와 협력해 수출을 진행한다.유영제약은 3회 투여 ‘아트리플러스주’, 5회 투여 ‘아트리주’에 이어 1회 투여 ‘레시노원주’까지 제품군을 강화해 글로벌 골관절염 치료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레시
차세대 백신 개발 전문기업 애스톤사이언스가 사우디아라비아 바이오기업 Svax와 난소암 치료백신 ‘AST-201’ 기술수출 및 공동 임상개발을 위한 텀시트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력으로 애스톤사이언스는 미국 FDA 승인 임상 2상 IND 패키지와 백신 공급을 담당하고, Svax는 임상 2상 비용을 부담한다. 사우디 정부 승인 후 정식 계약이 체결되며, ‘CornerStone-004’ 글로벌 임상 2상 프로그램에 사우디 지역도 포함돼 진행될 예정이다. 임상 결과에 따라 품목 허가와 상업화도 추진한다.특히 이 사업은 사우디 ‘Vision 2030’ 프로젝트의 정부 지원을 받는 연구로, 단순 기업 간 거래를 넘어 중동 지역을 포함한 글로벌 암 백신 시장 진
그린바이오 전문기업 제놀루션(225220)이 자동화 시약분주장비 ‘Geno-N’을 방글라데시 농업유전체 연구기관 BRRI(Bangladesh Rice Research Institute)에 첫 수출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섰다고 밝혔다.이번 수출에는 Geno-N 장비뿐 아니라 NX-Duo 자동 핵산추출장비와 전용 추출 키트도 함께 공급됐다. 특히,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LGC와 협력해 개발한 sbeadex™ Lightning 화학 기술이 적용된 추출 키트는 고속 자동 핵산 추출을 가능하게 해 농업유전체 연구 효율을 높인다.이 시스템은 고처리량 연구 환경에 최적화돼 BRRI의 쌀 품종 개량과 유전체 연구 정확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제놀루션은 시약 분주부터 핵산 추출까지 전
송재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대표인 고려대 의료기술지주 자회사 뉴라이브가 브라질과 연간 약 100만 달러 규모의 미주신경자극 의료기기 ‘소리클’ 수출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소리클’은 이명과 불면증 개선을 위한 비침습형 디지털 치료기기로, 정밀한 자극과 사용 편의성, 휴대성,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갖춰 국내외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이번 계약은 브라질 현지 유통사와 체결한 첫 미주신경자극 의료기기 수출 사례로, 이미 브라질 의료기기 인증을 획득해 본격적인 유통이 시작된다. 뉴라이브는 이번 진출을 계기로 중남미 시장 확대에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송재준 대표는 “이번 수출은 국내 디지털
대한뉴팜(054670)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코스모프로프 방콕 2025’에 참가해 해외 수출 확대에 나섰다고 26일 밝혔다.태국은 아세안 미용의료 시장으로, 한국산 화장품과 의료기기에 대한 선호가 높아 수입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한뉴팜은 ‘백옥주사’로 알려진 루치온주, 마취크림, PLA 필러, 마스크팩, 진단키트 등 다양한 제품을 전시했다.현재 75개 품목의 해외 등록을 완료했으며, 동남아·중앙아시아·중동·남미·뉴질랜드 등으로 수출 지역을 확대 중이다. 의약품 등록에는 원료부터 제조공정, 독성시험 등 방대한 자료 준비와 국가별 공장 검사가 필요해 전문 인력과 전략적 접근이 필수다.대한뉴팜 관계자는 “2027년 향남 신
KB국민은행은 지난 20일, 한국무역보험공사와 중소·중견 수출입 기업의 금융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본사에서 열렸으며, 이환주 KB국민은행장과 장영진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은 국내 경제의 핵심 주체인 수출입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고자 양 기관이 협력해 마련한 것이다. 양측은 지속가능한 성장과 수출주도형 경제 회복, 민생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동 지원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KB국민은행은 총 300억 원을 특별 출연하며, 이 중 270억 원은 협약 보증 재원으로 활용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무역보험공사는 총 4590억 원 규모의 보증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가 태국 시장에서 역대급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동남아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소식이다.대웅제약은 태국 파트너사인 몬타나 마케팅(Montana Marketing)과 총 738억 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계약 기간은 5년으로, 2020년 첫 계약 대비 약 3배 규모다.태국은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미용성형 시장으로, 최근 급성장 중이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시장 규모는 약 2조 원이며, 2030년까지 연평균 11.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나보타는 2020년 태국 진출 이후 현지화 마케팅 전략을 바탕으로 점유율 30% 이상을 기록하며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
농협이 아랍에미리트(UAE)를 시작으로 K-한우의 중동시장 수출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번 사업은 국내산 한우의 우수성을 해외 시장에 알리고, 고부가가치 축산물의 수출 기반을 다지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농협경제지주(회장 강호동, 축산경제대표이사 안병우)는 현지시간 6월 16일부터 두바이와 아부다비를 중심으로 「UAE농협한우수출개척단」의 활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척단은 농협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주UAE대한민국대사관과 협력해 추진하는 중동시장 개척 프로젝트의 일환이다.개척단은 아부다비 힐튼호텔에서 ‘할랄 한우 론칭쇼’를 개최하며 K-한우의 첫 공식 수출 성과를 알렸다. 해당 행사는 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