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보건의료
2020년「원격 중환자실, 스마트 감염관리, 병원 내 자원관리」적용 지원

| < 주요 사업내용 및 활용 시나리오 예시 > ① 통합 관제센터 및 비대면 협진 - (내용) 거점병원은 통합 관제센터를 마련하여 원내 중환자실들을 연결하고, 협력병원과의 비대면 협진시스템 구축 - (예시) 협력기관의 외과중환자실에 입원한 76세 남자 환자가 갑자기 호흡곤란과 흉부 통증을 호소하면서, 생체 징후가 불안정하게 변화 → 거점병원의 통합 관제센터에서 위급한 환자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고, 심장내과·호흡기내과 등 의료진에게 신속한 정보 제공 및 비대면 협진 진행하여 적절한 응급처치 시행 ② 인공지능 기반의 지역 감염병 환자 관리시스템 - (내용) 위험도 예측 결과 기반의 환자 분류, 생체징후 모니터링 결과 기반의 인공지능 환자 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중증환자로의 악화 방지 - (예시) 고혈압과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약을 복용하는 71세 비만의 여자 환자가 코로나19 확진 → 인공지능 환자 관리시스템 결과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어, 중증 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전원 ③ 위치정보 기반의 감염병 대응 - (내용) 위치추적기술 고도화로 감염병 발생시 확진자 동선 및 접촉자를 신속히 파악하여, 감염 확산을 조기에 차단 - (예시) 입원 당시 코로나19 음성이었던 40세 남자는 입원 이후 발열 등 증상이 발생하여, 시행한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확인 → 위치 정보 기반의 감염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환자의 동선, 접촉자 및 접촉시간을 분석하여 역학조사팀에게 보고 ④ 의료진 및 환자 보호 - (내용) 격리병상의 의료진-환자의 언택트 커뮤니케이션(Untact communication)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해, 의료진 및 환자의 안전 보호 - (예시) 고열과 호흡곤란으로 코로나19 의심 하에 응급의료센터 격리병상에서 관찰 중인 환자에 대해 기존 매 2시간→ 매 1시간마다 혈압 및 체온을 측정하도록 처방이 변경 → 의료진이 레벨D 보호복을 반복 탈착하거나 환자와의 접촉 없이도 생체신호측정 모니터 측정 간격을 격리실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정하여, 변경된 처방 수행 및 환자 상태 관찰 가능 ⑤ 위치추적 기반의 자산관리시스템 - (내용) 수술실 내 고가 의료기구의 위치추적 및 상태정보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적시적소에 자원 공급 - (예시) 위암으로 수술을 받기로 한 67세 남자 환자가 수술 도중 예상치 못한 전이성 병변 제거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였는데, 안전한 수술을 위해서는 수술 현미경이 필요 → 위치기반 추적시스템을 이용하여, 미사용 중인 수술 현미경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여 즉시 공급함으로써 수술 중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수술 진행  | 
								류수진 기자
webmaster@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