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네오셈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CXL 1.1 기반 메모리 검사장비를 출시하고 주요 고객사에 공급했으며, 올해 7월에는 CXL 2.0 검사장비도 초도 납품을 완료했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CXL 메모리 제조사들로부터 지속적인 장비 및 테스트보드 수주를 확보 중이다.
이 같은 상황은 최근 반도체 업계 흐름과도 맞닿아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MemCon, GTC 등 글로벌 콘퍼런스에서 CXL 기술을 공개하며 경쟁에 불을 지피고 있으며, 특히 SK하이닉스는 2025년 1분기 CXL 기반 D램 모듈(CMM-DDR5) 양산을 시작하고, 삼성전자는 이르면 올해말 256GB CXL D램 인증 완료를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두 회사 모두 서버·AI 워크로드용 메모리 확장 기술로 CXL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욜 인텔리전스는 CXL 관련 시장이 2026년 약 21억 달러에서 2028년 158억 달러(약 21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네오셈은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고도화된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SSD, DRAM, CXL 전 영역에서 고객 맞춤형 테스터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
박현진 하이뉴스(Hinews) 증권팀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