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연구는 19~70세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희석된 CaHA 필러(VoLassom)를 한 번 목주름 부위에 시술하고 4주간 경과를 관찰했다. 시술 후 피부 장벽 기능이 개선돼 경피수분손실(TEWL)이 24.3% 감소했고, 피부 수분도와 탄력(R2, R5, R7 지표)도 유의하게 상승했다. 특히 목주름 중증도(HNWS 점수)는 평균 2.44에서 1.00으로 크게 줄었다. 심각한 이상 반응은 없었으며, 일부 경미한 멍은 자연 소실됐다.
박귀영 교수는 “목 부위는 노화가 쉽게 드러나는 만큼 비수술적 개선법이 제한적이었는데, 단 1회 시술로도 피부 장벽과 탄력,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해 임상적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중안면(볼 부위) 볼륨 저하가 있는 15명을 대상으로 CaHA 필러 시술 후 24주간 추적했다. 볼륨 상태(MFVDS 점수)는 시술 2주, 4주, 24주 시점 모두 유의하게 개선됐고, 전반적 미용 개선도(GAIS)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유지했다.
피부 장벽(TEWL)과 수분도, 탄력(R2, R5, R7) 역시 4주와 24주 모두에서 의미 있는 개선을 보였다. 환자 만족도도 전 기간 동안 높았다.

박귀영 교수는 “이번 연구가 CaHA 필러의 활용 범위를 넓히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피부 노화 치료 전략 마련에 기초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SCIE급 국제피부과학저널(Dermatologic Therapy)과 국제미용피부과학저널(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에 각각 게재됐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