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정·박세훈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팀과 김광수 융합의학과 교수, 정수민 연구원이 공동 참여한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의 대규모 수술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수술 중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혈압, 심박수 등 생체신호를 1분 단위로 분석해 신장 손상 가능성을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한 것이다.
기존 예측 모델은 수술 전 환자의 기초 정보를 기반으로 해 정확도에 한계가 있었지만, 이번 모델은 수술 중 환자의 상태 변화를 즉각 반영해 실효성을 높였다. 여기에 주요 임상 변수 11가지도 함께 고려해 예측력을 보완했다.
AI 모델은 약 11만 건의 수술 데이터를 활용해 훈련 및 외부 검증을 거쳤으며, 예측 정확도(AUROC)는 76~79%로 기존보다 안정적인 성능을 입증했다. 민감도 및 특이도 95% 기준에서도 일관된 결과를 보여, 고위험 환자 선별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국제 의학학술지 ‘PLOS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