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수영장, 계곡, 해변 등에서 피서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진다. 이 시기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결막염 환자가 급증한다. 단순한 눈의 피로나 가벼운 알레르기로 오인해 방치하면 만성화하거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결막염은 눈꺼풀 안쪽과 안구 겉을 덮고 있는 투명한 점막 ‘결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다.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세균성, 알레르기성으로 나뉜다.
특히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 등 병원체가 수영장, 워터파크 같은 다중이용시설에서 전파된다. 전염력이 매우 높아 가족이나 주변 사람에게 쉽게 옮길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도 여름에 흔하다. 자외선, 미세먼지, 꽃가루, 동물 털 등이 원인이고, 냉방으로 인한 실내 건조나 자극도 증상을 악화시킨다. 주요 증상은 눈 충혈, 가려움, 이물감, 눈곱 증가다.

결막염 예방은 위생관리가 핵심이다. 외출 후 손을 꼭 씻고, 콘택트렌즈 착용 전후에도 손을 깨끗이 해야 한다. 물놀이 후 눈을 비비거나 렌즈 착용은 염증을 악화시키고 2차 감염 위험을 높이므로 피해야 한다.
또한 햇빛이 강할 땐 선글라스나 안경을 써 자외선 노출을 줄이고, 수건, 베개, 침구류는 자주 세탁해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는 “결막염은 가볍게 지나가는 경우가 많지만, 방치하면 각막염으로 발전해 시력 저하까지 올 수 있다”며 “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즉시 전문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눈 건강은 사소한 불편이라도 소홀히 넘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간단한 생활 습관 개선만으로도 여름철 눈 건강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