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A씨는 최근 바다에서 물놀이를 즐긴 뒤 눈이 충혈되고 간질간질한 증상을 겪었다. 처음엔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증상이 며칠째 가라앉지 않아 병원을 찾았고, 바이러스성 결막염 진단을 받았다.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수영장, 계곡, 해변 등에서 피서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진다. 이 시기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결막염 환자가 급증한다. 단순한 눈의 피로나 가벼운 알레르기로 오인해 방치하면 만성화하거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물놀이 후 눈 간지럽고 충혈되면 결막염 의심, 즉시 관리와 예방이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물놀이 후 눈 간지럽고 충혈되면 결막염 의심, 즉시 관리와 예방이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결막염, 종류와 주요 증상

결막염은 눈꺼풀 안쪽과 안구 겉을 덮고 있는 투명한 점막 ‘결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다.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세균성, 알레르기성으로 나뉜다.

특히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 등 병원체가 수영장, 워터파크 같은 다중이용시설에서 전파된다. 전염력이 매우 높아 가족이나 주변 사람에게 쉽게 옮길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도 여름에 흔하다. 자외선, 미세먼지, 꽃가루, 동물 털 등이 원인이고, 냉방으로 인한 실내 건조나 자극도 증상을 악화시킨다. 주요 증상은 눈 충혈, 가려움, 이물감, 눈곱 증가다.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
◇여름철 결막염 예방과 관리법

결막염 예방은 위생관리가 핵심이다. 외출 후 손을 꼭 씻고, 콘택트렌즈 착용 전후에도 손을 깨끗이 해야 한다. 물놀이 후 눈을 비비거나 렌즈 착용은 염증을 악화시키고 2차 감염 위험을 높이므로 피해야 한다.

또한 햇빛이 강할 땐 선글라스나 안경을 써 자외선 노출을 줄이고, 수건, 베개, 침구류는 자주 세탁해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는 “결막염은 가볍게 지나가는 경우가 많지만, 방치하면 각막염으로 발전해 시력 저하까지 올 수 있다”며 “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즉시 전문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눈 건강은 사소한 불편이라도 소홀히 넘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간단한 생활 습관 개선만으로도 여름철 눈 건강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