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영 한양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함께 간염에 대해 알아봤다.

A형 간염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감염되며 대부분 자연 회복된다. 하지만 성인 감염 시 증상이 심할 수 있고, 예방을 위해 백신 접종이 권장된다. B형 간염은 혈액, 체액, 출산을 통해 전염되며 국내에서 만성 간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만성화되면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어 항바이러스제 치료와 백신 예방이 중요하다.
C형 간염은 혈액을 통해 전파되며, 절반 이상이 만성화된다. 최근 개발된 경구 치료제로 95% 이상 완치가 가능하다. 국가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이 가능하다. D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있어야 감염될 수 있으며, 동시에 감염되면 간 손상이 더 빠르게 진행된다.
E형 간염은 대부분 급성으로 끝나지만, 임산부나 면역저하자에겐 위험할 수 있다. 덜 익은 돼지고기 섭취 등도 감염 경로다. HSV, EBV, CMV 간염은 특히 면역이 약한 환자에서 발생하며, 치료 시 빠른 항바이러스제 투여가 중요하다.
◇간염, 조용하지만 치명적인 질환
간염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다. 대부분 피로감, 식욕 저하, 미열, 구역감 등 비특이적인 증상만 나타난다. 황달, 진한 소변, 회색 변, 우상복부 통증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자각이 쉽지 않다.
이효영 한양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문제는 만성 간염이 수년간 증상 없이 진행되며, 결국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복수, 하지 부종, 간성 혼수, 정맥류 출혈 등 심각한 합병증도 생긴다"고 말했다.
진단은 혈액검사와 영상검사로 가능하다. 간기능 수치(AST, ALT 등), 바이러스 항체·유전자 검사, 간 초음파 및 CT 등이 포함된다. 만성 간염 환자라면 6개월마다 간암 감시 검사를 받는 것이 권고된다.

국내 간암 환자의 60% 이상은 B형 간염, 15%는 C형 간염에서 유래한다. 간염 바이러스가 간세포에 지속적으로 자극을 주면서 간섬유화와 간경변을 일으키고, 이는 간암의 직접적 원인이 된다.
이효영 교수는 "최근에는 알코올성 간염, D형 간염, 면역저하자의 바이러스 간염 등에서도 간암 발병 사례가 늘고 있다. 따라서 고위험군은 반드시 정기 검진을 통해 간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예방과 조기 진단이 최선의 치료다
간염은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다. A형과 B형 간염은 예방백신으로 감염을 막을 수 있고, C형 간염은 완치가 가능하다. HSV, CMV, EBV 등도 적절한 항바이러스제와 면역 조절로 관리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안전한 성생활, 과음 자제, 정기 건강검진 등 실천 가능한 생활 습관이 간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다"라며 "‘증상이 없으니 괜찮다’는 안일함이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