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대한치주과학회 학술부 소속 국내 치주과 전문의들이 임플란트 주위염의 원인부터 진단, 치료, 관리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한 연구 보고서를 국제학술지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JPIS)*에 발표했다.

연구는 박준범 서울성모병원 교수와 구기태 서울대치과병원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하고, 김윤정 관악서울대치과병원 교수와 송영우 중앙보훈병원 과장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조직에 국한된 염증인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은 유병률이 43%, 뼈까지 손상되는 ‘임플란트 주위염’은 2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불량한 구강위생, 치주염 병력, 당뇨병, 흡연 등이 꼽혔다.

(왼쪽부터) 박준범 서울성모병원 치주과 교수, 구기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왼쪽부터) 박준범 서울성모병원 치주과 교수, 구기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치료는 질환의 단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 ① 주위 점막염은 비수술적 치료, ② 주위염은 기계적·화학적 치료와 수술을 병행하는 방식, ③ 실패한 임플란트는 제거 후 주변 골 결손 회복 치료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임플란트 성공을 위해 ‘정기 검진과 환자 교육’을 통한 유지 관리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구기태 교수는 “임플란트 주위 질환 관리를 위해선 위험 평가, 맞춤 치료, 철저한 유지 관리까지 포함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준범 교수는 “임플란트는 신중하게 선택해야 할 치료법으로, 평소 치실·칫솔질과 정기 스케일링 등으로 자기 치아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라며 “폭염으로 침 분비가 줄고 시원한 음료를 자주 마시는 요즘 같은 시기엔 잇몸 질환 악화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대한치주과학회가 주도했으며, JPIS 최신호에 게재됐다. 해당 학술지는 국내 치의학 분야에서 피인용지수(IF) 3.2점을 기록한 바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