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보관부터 운용·처분까지 가능한 신탁 라인업 완성

금은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 전국적으로 펼쳐진 ‘금 모으기 운동’을 통해 국가 위기 극복에 기여한 상징적인 안전자산이다. 하나은행은 이러한 정신을 계승해 금 실물 자산의 활용 방안을 오랜 기간 연구해왔다. 지난 6월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과 협약을 체결하고, 합리적인 가격에 금을 처분할 수 있는 ‘하나골드신탁(처분)’을 선보인데 이어, 이번에 ‘하나골드신탁(운용)’을 출시하며 보관·운용·처분이 모두 가능한 금 신탁 상품 라인업을 구축했다.
이번 상품은 무수익 자산으로 분류되는 금을 적극 운용해 고객에게 운용수익을 제공하는 구조다. 또한, 시장에서 유동성이 높은 금 실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 소비 활성화와 경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골드신탁(운용)’은 고객이 보유한 금을 하나은행에 맡기면,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이 모바일 웹을 통해 감정 결과를 제공하고, 고객 동의 절차를 거쳐 운용을 진행한다. 만기 시에는 감정가의 1.5%(2025년 8월 11일 기준, 연이율, 세전·보수 차감 후)에 해당하는 운용수익과 함께 금 실물을 돌려받게 된다. 운용수익은 현금 또는 금 실물로 받을 수 있다.
가입 대상은 24K 순금이며, 최소 가입 중량은 100g이다. 상품은 11일 ‘서초금융센터’와 ‘영업1부’ 지점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했고, 오는 18일부터는 서울 25개 지점과 부산 ‘해운대동백’ 지점을 포함해 총 26개 영업점으로 확대된다.
지난 6월 ‘하나골드신탁(처분)’ 계약을 체결한 한 고객은 “가격이 오를 것을 기대하며 그저 보관만 하던 금을 믿고 맡길 수 있는 은행을 통해 운용수익을 챙기고, 필요할 때 합리적인 가격에 처분도 할 수 있게 돼 이번 상품의 만족도가 매우 높을 것 같다”고 전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하나골드신탁(운용)’이 금 실물도 ‘운용 가능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자산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혁신 상품을 지속 출시해 신탁 명가로서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오하은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