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수술 전 혈액 검사와 CT 영상만으로 담낭암의 1년 이내 조기 재발 위험을 예측하는 노모그램(예측 모델)이 개발됐다는 소식이다. 이 모델은 임상 현장에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윤소경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외과 교수팀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담낭암 절제 수술을 받은 251명의 환자를 분석해 재발 위험과 관련된 수술 전 예후 인자 7가지를 도출했다.

주요 인자는 남성 성별, 만성 간 질환, 수술 전 증상, CEA(암태아항원) 상승, 근감소성 비만, 임상 T3 이상 병기, 림프절 전이 의심 등이다. 만성 간 질환과 CEA 상승은 혈액 검사로, 나머지는 CT 영상으로 확인한다.

윤소경 순천향대 서울병원 외과 교수 사진 (순천향대 서울병원 제공)
윤소경 순천향대 서울병원 외과 교수 사진 (순천향대 서울병원 제공)
연구팀은 개발한 노모그램을 순천향대 서울병원, 부천병원과 경북대 칠곡병원 환자 176명에게 적용해 정확도를 검증했다. 내부 검증에서 약 87.2%, 외부 검증에서 약 70.3%의 예측력을 보여 임상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윤 교수는 “이 모델은 수술 전 재발 위험을 평가해 고위험군에는 강화 치료를, 저위험군에는 불필요한 치료 부담을 줄이는 맞춤 치료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담낭암은 진단 시 진행된 경우가 많고 수술 후 재발률도 높아 예후가 좋지 않다. 특히 1년 내 재발하는 조기 재발은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쳐, 사전 위험 예측과 맞춤 치료가 필수적이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