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은 갑작스러운 관절염 발작과 만성 합병증 위험으로 ‘침묵의 살인자’라는 별명도 갖고 있다. 한 번의 통풍 발작 후 통증이 사라져도, 신장병과 심혈관질환 등 심각한 후유증이 따라올 수 있기 때문이다.
◇폐경 후 여성, 통풍 위험 급증하는 이유
이지수 이대목동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폐경 전 여성은 여성호르몬 덕분에 요산 배출이 활발해 통풍 위험이 낮다”며 “하지만 폐경 후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면 요산 배설이 줄어들고, 통풍 발병률이 70대 이상에서는 남성과 비슷해진다”고 설명했다.

202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40대 여성 환자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50대부터 70대 이상에서는 남성과 거의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여성 통풍, 진단과 치료의 새로운 관점
여성 통풍은 남성과 다른 특징을 보인다. 여성 환자는 고혈압, 당뇨, 비만, 만성콩팥병, 이뇨제 복용 등으로 인한 통풍 비율이 남성보다 2~3배 높다. 반면 남성은 주로 음주, 고기 섭취, 유전적 요인에 더 민감한 경향이 있다.
발작 부위도 다르다. 남성은 보통 엄지발가락 관절에서 발작이 시작되지만, 여성은 발목이나 무릎 같은 비전형적인 부위에 증상이 나타나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여성 환자는 통풍 진단과 치료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놓이기 쉽다.

또 “요산 저하제 사용 시 효과와 부작용을 꼼꼼히 모니터링하며 치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