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는 감염병으로, 침, 콧물, 가래, 대변 등 다양한 경로로 전파된다. 주요 원인 바이러스는 콕사키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등이다. 손, 발, 입 주변에 붉은 반점이나 물집이 생기며, 입 안까지 수포가 생길 경우 아이는 극심한 통증으로 음식을 거부할 수 있다.
손등과 발등, 엉덩이, 몸통에 3~7mm 크기의 수포가 생기며, 일부는 고열이나 구내염이 동반되기도 한다. 외부에 증상이 보이지 않더라도 입안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수족구병은 특별한 치료제가 없어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다. 입 안 통증이 심하면 식사량이 줄고 탈수가 생기기 쉬워 수분 섭취가 매우 중요하다. 입술이 마르거나 소변 양이 줄었다면 병원에서 수액을 맞는 것도 도움이 된다.
윤지현 건국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열이 날 땐 해열제를, 통증이 있으면 타이레놀 같은 진통제를 쓰는 것이 좋다”며 “아스피린 계열 약물은 아이에게 절대 금지”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스피린은 간 기능 장애와 뇌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어, 심하면 라이 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부분은 일주일 안팎으로 자연 회복되며, 수포도 흔적 없이 사라진다. 다만, 물집을 긁지 않도록 주의하고, 부드러운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아이스크림처럼 먹고 싶어하는 음식을 제한하지 않는 것도 괜찮다.
◇수족구병, 드물게 신경계·심장 합병증도
수족구병은 보통 가볍게 지나가지만 일부에선 신경계 이상, 심장질환 등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 뇌염, 뇌수막염, 심근염, 폐부종 등이 드물게 나타날 수 있다. 심한 두통, 구토, 의식 저하 같은 증상이 보이면 즉시 병원 진료가 필요하다.
또한, 병이 나은 뒤 드물게 손발톱이 빠지는 경우도 있다. 윤 교수는 “이는 수족구병의 후유증 중 하나로, 시간이 지나면 다시 건강한 손톱이 자라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수족구병 예방 백신은 없다. 손씻기 등 철저한 개인위생만이 예방법이며, 특히 단체생활 중인 아이들은 손을 자주 씻고 눈·코·입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시켜야 한다. 개인 식기와 컵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아이들 질병으로 알려진 수족구병은 사실 어른도 감염될 수 있다. 성인 감염자의 경우 대부분 증상이 가볍지만, 일부는 고열과 극심한 피로, 입 안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특히 면역력이 떨어진 성인이나 고령자는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윤 교수는 “가족 중 수족구병 환자가 있다면 물건을 따로 쓰고, 직접 접촉은 피해야 한다”며 “건강한 성인은 대개 1~2주 내 회복된다”고 설명했다.
어른이든 아이든 수족구병에 걸렸다면 충분한 수분과 영양을 섭취해 면역력을 유지하고,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 가족 간 감염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이 심하거나 회복이 더디면 입원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