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경영 혁신, 첨단산업 지원 강화

29일 임 회장은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CEO 합동 브리핑’을 주재하고, 생산적 금융 73조원과 포용금융 7조원의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아울러 자본 안정성, AI 기반 경영시스템 전환, 건전성 관리 방안도 제시했다. 브리핑에는 은행·증권·보험·저축은행·자산운용 등 주요 자회사 CEO들이 참석해 그룹 차원의 동참 의지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가계·주담대 중심의 자금 흐름을 기업 성장 지원으로 전환하고, 기업금융 경쟁력 강화를 통한 동반성장, 금융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소비자 보호를 실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우리금융은 생산적 금융 73조원을 국민성장펀드 10조원, 그룹 자체 투자 7조원, 융자 56조원으로 구분했다. 국민성장펀드 참여는 민간 최초 사례로, 전체 150조원 중 약 13%를 차지한다.
그룹 자체 투자에는 공동투자펀드 1조원, 증권 중심 모험자본 1조원, 자산운용 계열사의 생산적 금융 펀드 5조원이 포함된다. 융자 56조원은 K-테크 프로그램(19조원), 지역 첨단산업 육성(16조원), 혁신 벤처기업 지원(11조원), 국가 주력산업 수출기업 지원(7조원),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 지원(3조원)으로 구성된다.
포용금융 7조원은 서민금융 대출, 소상공인 금융지원, 배드뱅크 사업 참여 등으로 편성됐다. 이를 통해 매년 11만 명씩, 5년간 총 55만 명이 금융 혜택을 받게 된다. 저신용 신규 고객과 성실 상환 고객에게 금리 인하 혜택을 제공하고, 금융소비자 보호 거버넌스도 강화한다.
우리금융은 자본 안정성 확보와 건전성 강화를 위해 주택담보 및 임대사업자 대출을 첨단산업 대출로 전환하는 등 자산 리밸런싱을 추진한다. 보통주자본비율 12.5% 달성과 배당 확대 계획도 차질 없이 이행할 방침이다.
특히 기업여신 프로세스 전반에 AI 지원 기능을 도입한다. 심사, 서류 검수, 사후관리 등에 AI 에이전트를 적용해 RM(기업금융 담당자)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분산된 영업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지원할 예정이다.
우리금융은 프로젝트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첨단전략산업금융 협의회’를 운영하고, 자회사 성과평가에 생산적·포용금융 항목을 최대 30% 반영한다. 또한 은행 내 전담 조직과 업종별 전담팀을 신설해 산업 모니터링과 전략 발굴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17조원 규모 투자와 56조원 규모 융자를 집행하며, 기업대출 성장률을 기존 4% 수준에서 10%까지 끌어올리고 기업금융 비중도 50%에서 60%까지 확대한다. 포용금융은 5년간 7조원으로 늘려 총 55만 명이 혜택을 받을 예정이다.
임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적 금융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를 동시에 이뤄 우리금융 지속성장의 기반을 다지겠다”며 “126년간 대한민국의 근대화와 산업화를 이끌어온 그룹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경제 회복과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오하은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