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은 지난 13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추진하는 '2025년 제2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리는 킥오프 미팅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는 고려대 의대가 주관하며, 고려대의료원, 차의과학대학교, 뉴마핏, NHN, 론픽 등 총 6개 기관이 참여한다. 정부연구비 127억 5천만 원을 포함해 총 151억 원 규모로 진행된다.

행사에서는 참여 기관들의 과제 선정증서 수여와 함께, CPET(심폐운동부하검사) 시연이 진행됐다. 시연에서는 실시간으로 최대산소섭취량(VO₂max), 호흡교환비(RER), 분당환기량(VE), 호흡수(Rf) 등을 측정해 개인별 심폐능력과 대사능을 평가하는 과정을 공개했다. 연구팀은 향후 젖산염, 근력 등의 대사 지표를 추가하여, 통합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이를 모델 학습 및 서비스 설계에 반영할 예정이다.

고려대 의대 의공학교실 박용두 교수팀 한국형 ARPA-H 과제 킥오프 미팅 단체사진 (사진 제공=고대의대)
고려대 의대 의공학교실 박용두 교수팀 한국형 ARPA-H 과제 킥오프 미팅 단체사진 (사진 제공=고대의대)
이번 연구는 'Frailty Zero'라는 위상분석형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FZ 케어 서비스의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이 모델은 급증하는 노인의료 및 장기요양 수요에 대응하고, AI 기반으로 노쇠를 예측하고 예방적 돌봄을 체계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박용두 교수는 "개인의 대사능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운동, 영양, 사회적 지원을 통해 노쇠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건강한 고령화 사회를 앞당길 것"이라며, "정밀 예측과 개입을 통해 노쇠 제로에 가까운 미래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