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아침저녁으로 기온이 크게 떨어지는 환절기에는 허리가 뻣뻣하거나 찌릿한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다. 대부분 일시적인 근육통으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척추의 미세 손상이나 구조적 이상에서 비롯된 신호일 수도 있다. 이런 통증을 가볍게 넘기면, ‘척추분리증’ 같은 만성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척추분리증은 척추뼈 뒤쪽의 연결 부위가 끊어지거나 약해진 상태를 말한다. 이름만 보면 심각한 수술이 필요한 질환처럼 들리지만, 대부분은 비수술적 치료로 관리가 가능하다. 다만 조기 진단이 늦어지면 척추의 움직임이 불안정해지고, 척추가 앞으로 밀리는 전방전위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동찬 힘찬병원 신경외과 센터장은 “척추분리증은 선천적 요인이나 반복된 미세 손상으로 생기며, 젊을 때는 증상이 거의 없다가 나이가 들며 근육이 약해질 때 통증이 시작된다”고 설명했다.
◇척추분리증, 증상 가볍더라도 방치 금물
척추는 앞쪽의 척추체와 뒤쪽의 후궁이 단단히 연결돼 있는데, 이 고리가 끊어지면 척추가 제자리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초기에 통증이 거의 없거나 단순 요통으로 느껴져 방치하기 쉽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근육과 인대가 약해지면 척추가 흔들리며 통증이 심해진다.
환절기 요통은 단순 근육통이 아닌 ‘척추분리증’의 초기 신호일 수 있어, 조기 진단과 근육 강화가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허리를 뒤로 젖히거나 오래 서 있을 때 통증이 악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을 그대로 두면 척추가 앞으로 미끄러지는 전방전위증으로 이어지고, 그 과정에서 신경이 눌리면 다리 저림이나 감각 이상도 생길 수 있다.
이동찬 센터장은 “척추가 불안정한 상태를 방치하면 통증이 만성화되고, 보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허리 근육을 강화하고 자세를 교정해 척추의 움직임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비수술적 치료 우선... 생활 습관 관리도 중요
척추분리증은 대부분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으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 복부와 허리를 지탱하는 코어 근육 강화 운동을 병행하면 척추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통증이 심하거나 척추가 심하게 밀린 경우에는 척추유합술 등 수술적 치료가 고려되기도 한다.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허리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동작을 피해야 한다. 허리를 뒤로 젖히거나 비트는 동작이 많은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 등은 주의가 필요하다. 반면 복부와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가벼운 스트레칭, 걷기, 코어 운동은 도움이 된다.
이 센터장은 “척추분리증은 병명보다 관리가 더 중요하다”며 “무리하지 않는 범위에서 꾸준히 허리 근육을 강화하고, 통증이 반복된다면 의료진 진료를 통해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