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박현진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교수 연구팀이 요추 추간판 탈출증 치료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며 대한정형외과학회 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연구팀에는 박상민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송광섭 중앙대병원 교수, 유기한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교수가 함께 참여했다.
수상 논문은 최소침습 양방향 내시경 디스크 절제술(Biportal Endoscopic Discectomy, BED)과 기존 현미경 디스크 절제술(Microscopic Discectomy, MD)의 유효성과 안정성을 비교한 세계 첫 다기관 무작위 대조 연구로, 국제학술지 『The Bone & Joint Journal』에 게재됐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허리디스크로도 알려져 있으며, 신경 압박으로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을 유발한다. 기존 현미경 수술은 회복이 빠르지만 근육 손상과 흉터가 남는 한계가 있었다.
박 교수팀은 2021년 7월부터 2022년 9월까지 국내 6개 병원에서 수술받은 100명을 대상으로 BED와 MD를 비교했다. BED는 요추 두 곳에 약 7~10mm만 절개하고 내시경으로 수핵을 제거하는 최소침습 수술이다.
12개월 추적 관찰 결과, 기능 회복 점수는 두 군이 유사했지만, BED군은 통증, 근육 손상, 절개 길이 등 조기 회복 지표에서 MD군보다 우수했다. 특히 절개 길이는 BED군이 15.8mm로 MD군(33.1mm)의 절반 수준이었고, 상처 벌어짐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박 교수는 “BED는 기존 현미경 수술과 동일한 기능 회복 효과를 유지하면서 통증과 흉터, 근육 손상 측면에서 우수함을 첫 다기관 연구로 입증했다”며, “회복 속도와 미용을 중시하는 젊은 환자에게 새로운 초기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