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억 초과 주택도 연금화…‘부유한 가난’ 해법 제시

[Hinews 하이뉴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하면서 가장 큰 고민은 ‘생활비’다. 정년은 60세 전후에 머물러 있지만 기대수명은 2063년 90세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길어진 노후에 비해 재정 준비는 여전히 부족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하나금융,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베이비부머 노후 대안 될까 (하나금융그룹 제공)
하나금융,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베이비부머 노후 대안 될까 (하나금융그룹 제공)

하나금융연구소가 은퇴를 앞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8.5%가 은퇴 후 재정 상태에 불안을 느낀다고 답했다. 주요 우려 요인은 중대 질환(54.2%)과 생활비 부족(47.4%)이었다. “노후 재무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답한 비율도 39.4%에 달했다. 특히 실거래가 17억원 이상 주택을 보유했지만 금융자산이 3억원 미만인 시니어층에서는 89.5%가 현금흐름 설계에 대해 가장 큰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60대 이상 가구 자산의 79%가 부동산에 집중돼 있다는 점은 이 같은 불안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주택을 처분해 생활비로 전환하기도 쉽지 않다. 은퇴 이후에도 독립적인 거주를 유지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결국 집을 팔지 않고도 정기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주택연금은 공시가격 12억원 이하 주택만 가능하고, 민간 역모기지는 종신형 지급이 보장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일부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제도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도 늘어났다.

이런 시장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5월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을 선보였다. 이 상품은 공시가격 12억원을 초과하는 주택도 가입할 수 있어, 자산은 많지만 유동성이 부족한 베이비부머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한다.

상품 구조는 단순하다. 보유 주택을 담보로 평생 거주를 유지하면서 매달 연금을 수령한다. 가입자가 사망하더라도 배우자가 동일 금액을 계속 받을 수 있으며, 부부 모두 사망한 후에는 주택을 처분해 잔여 자산을 상속인에게 귀속한다. 주택가격이 하락해도 부족액을 상속인에게 청구하지 않는 비소구 방식을 적용해 가족의 부담을 덜어준다.

출시 이후 현장에서는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금융자산이 많지 않은 고가 주택 보유자, 소득이 줄어든 은퇴 직후 시니어층이 주요 수요층이다. 이들은 현재의 주거를 유지하면서도 생활비 확보가 필요해 ‘내집을 기반으로 한 연금’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베이비부머의 노후 문제는 한국 사회 고령화의 축소판이다. 부동산 자산을 유동화해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마련하는 방식은 단순한 금융상품을 넘어 사회적 안전망의 의미를 갖는다.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은 시니어층의 주거 안정과 생활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