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동아에스티가 사이러스 테라퓨틱스와 면역 및 염증 질환 치료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사이러스는 자체 개발한 분자접착분해제(Molecular Glue) 기반 스크리닝 시스템을 활용해 신규 타깃 물질을 발굴하고, 동아에스티는 전임상 및 임상 개발을 맡아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면역·염증 질환 분야는 블록버스터 항체 치료제와 JAK 억제제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치료 수요가 높다. 기존 치료제의 한계로, 반응률 저조나 부작용 우려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분자접착분해제는 질병 관련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해 근본적인 치료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이는 기존 저해제 대비 넓은 타깃 범위와 장기적인 효과, 안전성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사이러스는 단백질 분해 기반 저분자 신약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바이오텍으로, 최근 항암 타깃 GSPT1을 분해하는 물질 ‘CYRS1542’의 미국 FDA 및 국내 식약처 임상 1상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위)동아ST CI, (아래)사이러스 테라퓨틱스 CI (사진 제공=동아제약)
(위)동아ST CI, (아래)사이러스 테라퓨틱스 CI (사진 제공=동아제약)
김병문 사이러스 대표는 “분자접착분해제는 기존 치료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접근 방식”이라며 “동아에스티와의 협력을 통해 빠른 시간 안에 혁신 신약 후보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미경 동아에스티 연구본부장은 “이번 협업은 동아에스티가 면역·염증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신약 모달리티를 확대해 나가는 중요한 계기”라며 “양사의 기술력을 결집해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면역치료제 시장은 2023년 약 2600억 달러에서 2029년까지 58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