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단계에서는 약물치료, 도수치료, 신경차단술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호전될 수 있다. 도수치료는 경추의 불균형을 바로잡아 통증을 완화하고, 신경차단술은 염증과 통증 신호를 차단해 비교적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신경 압박이 심해 팔 저림이나 감각 저하, 근력 약화가 동반될 정도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최근 많이 시행되는 방법이 양방향 내시경 디스크 수술이다. 경추에 5mm 정도의 작은 구멍 두 개를 내 한쪽에는 내시경을, 다른 한쪽에는 수술 기구를 넣어 병변을 제거한다. 두 방향에서 동시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구조물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고, 신경 주위도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다. 불필요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병변만 제거할 수 있어 회복이 빠르고 합병증 위험도 낮은 편이다. 보통 1시간 내외로 수술이 끝나고, 다음 날 일상적인 활동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다만 경추는 중추신경이 지나가는 부위이기 때문에 의료진의 숙련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이 있는 병원에서 수술을 받아야 안전하고, 수술 후 재활 관리 체계가 잘 갖춰져 있는지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방향 내시경 수술은 작은 절개로 넓은 시야를 확보해 신경과 주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최소 침습으로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어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만, 무엇보다 수술 경험이 많은 의료진이 집도해야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글 :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의학박사))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