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간 통증과 불편은 자연스러운 회복 과정이다. 냉·온찜질, 진통제, 재활운동 등이 통증 완화에 도움 된다. 하지만 회복기 이후에도 통증이 심하거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면 재수술 위험 신호일 수 있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다음 증상이 있으면 즉시 전문의 진료를 받는 게 좋다.
· 밤마다 심한 통증 또는 휴식 중 지속되는 통증
· 무릎 흔들림, 걸을 때 힘 빠짐
· 무릎이 잘 구부러지지 않고 걸리는 ‘잠김’ 증상 및 가동범위 감소
· 수술 부위 붓기, 열감, 발적
· 다리 모양 변형(O자·X자 다리)
권오룡 연세스타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증상을 무시하지 말고 정밀검사를 통해 원인을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재수술 예방과 관리법
재수술은 감염, 부품 파손, 불안정성, 인대 손상, 심한 구축이나 골절이 명확할 때 권고된다. 재수술은 첫 수술보다 시간이 길고 복잡하며, 환자 고령 시 위험 부담도 크다.
따라서 인공관절 수술 후 체중 관리와 올바른 운동 습관이 필수다. 체중이 5kg만 늘어도 무릎 하중이 크게 증가하므로 체중 조절이 관절 수명 연장에 중요하다.
수영, 실내 자전거, 평지 걷기 등 저충격 운동을 추천하며, 무릎 깊게 구부리거나 무거운 물건 갑작스레 드는 행동은 피해야 한다.
감염 예방도 중요하다. 다른 진료 시 반드시 의료기관에 알리고, 상처나 감염이 생기면 즉시 치료해야 한다.
또 매년 또는 2년에 한 번 X-ray, 혈액 검사로 인공관절 상태를 점검하며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