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질병관리청은 26일 경북권질병대응센터에서 ‘진드기매개감염병 예방 및 대응 현장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간담회에는 질병관리청, 경북도청, 포항시 남구 보건소, 경북 감염병관리지원단, 경북대학교병원 감염관리실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주요 논의 내용은 경북지역 진드기매개감염병 발생 현황과 예방사업 추진 결과, 매개체 감시 현황, 의료기관 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2차 감염 예방 대책, 그리고 기관별 역할과 협력 방안이다.

국내 진드기매개감염병 주요 질환은 쯔쯔가무시증과 SFTS로, 최근 3년간 환자의 74.3%가 가을철(9~11월)에 집중 발생했다. 경북은 전체 환자의 83%가 이 시기에 몰렸다. 이에 경상북도는 고위험군인 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맞춤형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환자 발생 지역 중심으로 방역과 소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SFTS 환자 조기 발견을 위해 의사회, 의료기관, 동물병원 등과 협력해 의료진 교육과 홍보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의료기관과 보건소 간 핫라인을 구축하는 모범 사례를 확산 중이다.

진드기매개김감염병 예방 홍보 리플릿 (사진 제공=질병관리청)
진드기매개김감염병 예방 홍보 리플릿 (사진 제공=질병관리청)
임승관 청장은 경북지역 예방사업 담당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하며 “지방자치단체와 의료기관의 협력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발열, 구토, 설사 등 증상이 있으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진료받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