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밋은 AI와 디지털 바이오가 의료와 바이오 산업에 가져올 혁신과 미래 방향을 제시하고, 산·학·연·병·관 협력 생태계 구축 및 연구 성과의 병원 실증과 사업화 연계를 목표로 했다.
첫 번째 ‘디지털 바이오’ 세션에서는 정부 정책과 산업 현황을 중심으로 심층 토론이 이뤄졌다. 신재민 디지털 바이오 R&D 센터장이 좌장을 맡았고, 강도태 고려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디지털 바이오 관련 국가 전략을 발표했다. 카카오헬스케어의 방대한 의료 데이터 플랫폼, AI 기반 노화 바이오마커 연구, 초거대 AI를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한국인 유전체 분석 성과와 멀티오믹스 통합 분석 비전 등이 공유돼 주목받았다.
두 번째 ‘의료 AI’ 세션에서는 의료 현장에 적용되는 AI 혁신 사례들이 소개됐다. 이화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양성일 분당서울대병원 교수가 의료 AI의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LG AI연구원의 AI 병리 진단 기술, 고려대의 피부암 비침습 진단법, AI 기반 심정지 예측 솔루션 등 구체적 의료 AI 솔루션들이 발표됐다. 신약 개발 분야에선 AI 통합 신약 발굴과 개발 기간 단축 연구가 소개돼 기대감을 높였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