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연숙 의원(국민의힘)이 국립암센터로부터 받은 ‘국립암센터 마약류 의약품 자가처방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의사직 현원이 95명인 국립암센터에서 지난 5년간 매년 10명 안팎의 의사들이 마약류 의약품을 셀프처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10%가 넘는 수치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에는 12명 의사가 571정을 셀프처방했고, ▲2019년에는 13명이 622정, ▲2020년 9명 530정, ▲2021년 7명 618명, ▲2022년에는 12명이 581.5정을 처방했다.
지난 5년간 셀프처방한 마약류 의약품은 마약 7종, 향정신성의약품 8종으로 약품별로 처방량을 살펴보면 마약은 ▲마이폴 320정, ▲코데인 20mg 403정, ▲히드로코돈 5/325 56정, ▲히드로모르폰 2mg 28정, ▲옥시코돈 IR 10mg 6정, ▲옥시코돈 IR 5mg 33정, ▲타진 SR 10/5mg 26정으로 총 872정이었고, 향정신성의약품은 ▲알프라졸람 0.25mg(향) 86.5정, ▲디아제팜 2mg(향) 72정, ▲로라제팜 0.5mg(향) 27정, ▲로라제팜 1mg(향) 70정, ▲졸피뎀 10mg(향) 1,586정, ▲졸피뎀 CR 12.5mg(향) 84정, ▲졸피뎀 5mg(향) 14정, ▲졸피뎀 CR 6.25mg(향) 111정으로 향정은 총 2050.5정이었다.
최연숙 의원은 “암센터는 병원 특성상 암 환자가 많기 때문에 마약류 의약품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이다”면서 “의사와 환자 모두가 안전할 수 있는 진료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셀프처방을 제한할 수 있는 규정과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