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IND 변경은 1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상 2상 설계를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1상에서 안발셀은 안전성과 초기 효능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2상에 적합한 최적 용량도 확보했다. 구체적인 1상 결과는 연내 학회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변경된 임상계획에는 참여 환자 수 확대와 함께 주요 유효성 평가 지표가 구체적으로 담겼다. 전체 완전 관해율(ocr)을 중심으로 반응 도달 시간(TTR), 관해 지속 기간(DOR), 무재발 생존율(RFS) 등이 체계적으로 분석된다.

큐로셀은 안발셀 임상 2상 개시가 국내 성인 ALL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김건수 대표는 “DLBCL 임상에서 입증된 안발셀의 효과가 성인 ALL 환자에게도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길 바란다”며 “치료를 기다려온 환자와 가족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