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는 이대석 부산시의회 부의장의 개회사로 시작됐으며, 장혁표 전 부산대학교 총장과 아슬란 아스카르 주부산 카자흐스탄 총영사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훈 서울대 교수가 항암·방사선 치료를 앞둔 여성 환자의 맞춤형 가임력 보존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정수전 세화병원 부원장이 난자동결의 원리와 최신 임상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청중의 이해를 도왔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서지연 부산시의원이 난자동결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며 환자 부담을 줄이기 위한 지원책 보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하아나 세화병원 연구원은 난자동결 임상 성과를 발표하며 치료 기술의 발전이 임신 성공률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렸다.

이상찬 세화병원 병원장은 “올해 아카데미는 의학적 지식과 정책, 인문학적 성찰이 어우러진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 세화아카데미가 지식 전달을 넘어 시민과 학계가 함께 소통하는 장으로 자리 잡아 부산을 넘어 국제적 플랫폼으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