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최근 10년간 심근경색증 환자 수가 약 1.5배 증가했으며,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연령대도 70대에서 60대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제생병원은 질병관리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2년 2만3505명이던 심근경색증 입원 환자 수가 2022년에는 3만4969명으로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최근 10년간 심근경색증 환자가 1.5배 증가했고, 주된 발생 연령이 70대에서 60대로 낮아졌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최근 10년간 심근경색증 환자가 1.5배 증가했고, 주된 발생 연령이 70대에서 60대로 낮아졌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연령대별로는 60대가 전체의 24.9%로 가장 많았고, 70대(24.5%), 50대(21.0%)가 뒤를 이었다. 특히 2012년에는 70대가 가장 높은 비중(27.1%)을 차지했으나, 2022년에는 60대가 27.4%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는 심근경색증 발생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오민석 분당제생병원 심장혈관센터 과장은 "최근 들어 60대 환자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며,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 고지혈증 등으로 젊은 연령에서도 혈관 건강이 악화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심근경색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혀 발생하는 질환이다.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지만, 혈전이나 혈관 수축으로 급격한 혈류 차단이 발생하면 흉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오민석 분당제생병원 심장혈관내과 과장이 환자에게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분당제생병원)
오민석 분당제생병원 심장혈관내과 과장이 환자에게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분당제생병원)
오 과장은 "가슴 중앙을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되면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근경색증은 심장질환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조기 대응이 중요하다. 증상 발생 시 빠른 진단과 시술이 환자의 생명을 좌우할 수 있다.

분당제생병원은 응급의학과, 심장혈관내과, 흉부외과 간 협진 체계를 통해 응급 대응 시간을 단축하고 있으며, 응급 관상동맥중재술을 1만례 이상 시행해왔다.

또한 심장호흡재활클리닉을 운영해 심장재활 교육과 맞춤형 운동 치료를 제공하며 환자의 회복을 돕고 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