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생애 전주기 건강예측 기술 개발이 본격화된다.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기업 미소정보기술은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과 함께 150만명 규모의 페놈데이터(Phenom Data)를 기반으로 맞춤형 헬스케어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국가전략형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이다. 유전체, 생활 습관,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반영된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청년 및 중장년층 대상 건강예측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비만, 대사성 간질환,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조기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개인 맞춤형 라이프케어 서비스로 확장해 정밀의료 및 예방 중심 헬스케어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미소정보기술은 헬스케어 멀티모달 데이터 아키텍처 기술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기반 연합학습 플랫폼과 AI 코칭 시스템을 개발한다. 강북삼성병원은 임상 데이터를 활용해 다중 데이터 수집, 예측 알고리즘 검증, 환자 중심 디지털헬스케어 모델 구축 등을 맡는다.

미소정보기술이 강북삼성병원과 함께 150만명 페놈데이터를 기반해 맞춤형 헬스케어 기술개발을 통해 환자 맞춤형 질환 예측과 조기 진단이 가능해져 의료비 절감과 국민 건강 수준 향상에 기여한다. (사진 제공=미소정보기술)
미소정보기술이 강북삼성병원과 함께 150만명 페놈데이터를 기반해 맞춤형 헬스케어 기술개발을 통해 환자 맞춤형 질환 예측과 조기 진단이 가능해져 의료비 절감과 국민 건강 수준 향상에 기여한다. (사진 제공=미소정보기술)
이번 과제에는 미소정보기술과 강북삼성병원을 포함해 성균관의대, 서울성모병원, 삼성전자, 네이버클라우드, 마크로젠, 웨이센, 디지털팜 등 주요 의료·기술 기업과 연구기관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한다.

미소정보기술은 이번 협력을 통해 의료 AI 분야에서의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함께 모색하겠다는 입장이다. 연구 성과가 가시화될 경우, 개인 맞춤형 질환 예측과 조기 개입이 가능해져 국민 건강관리와 의료비 절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미소정보기술은 최근 헬스데이터 유통 플랫폼을 선보이며, 의료기관의 데이터 통합·운영 효율화에 나서고 있다. 의료 외에도 제조, 건설, 자동차, 반도체 분야에서 에이전틱 AI 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 중이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