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위암 환자의 혈액을 통해 간, 폐, 뼈 등으로 퍼지는 혈행성 전이를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분자 아형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64명의 위암 환자 종양 조직을 분석해 ‘줄기세포성’과 ‘위 점막형’ 두 가지 아형으로 구분하고, 17개 유전자를 활용해 전이 위험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환자별 전이 위험도를 수치로 산출해 맞춤형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위암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흔한 암으로, 환자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은 전이다. 전이는 림프절, 복막, 혈행성 전이로 나뉘며, 특히 혈행성 전이는 예후가 좋지 않다. 그러나 기존에는 어떤 환자가 혈행성 전이에 취약한지 미리 알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환자 종양에서 추출한 RNA를 분석해 혈행성 전이와 연관된 분자 아형을 찾아냈다. 전이 위험이 높은 ‘줄기세포성’ 아형은 전이 발생이 빠르고, 위험도가 낮은 ‘위 점막형’ 아형과 비교해 혈행성 전이 위험이 약 2.9배 높았다. 반면 복막 전이와 전체 생존율에서는 두 아형 간 차이가 없었다.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해 17개의 핵심 유전자를 선정했고, 이들 유전자 발현 값으로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을 나누는 ‘혈행성 전이 위험 점수’를 만들었다. 외부 3개 대규모 환자 코호트와 환자 유래 이종이식 모델을 통해 이 점수의 정확성을 검증했다. 고위험군은 저위험군보다 혈행성 전이가 빠르게 발생했다.

또한, 고위험군 환자는 기존 보조 항암치료 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아 새로운 치료법 개발 필요성이 제기됐다. 연구팀은 일부 신약 후보 물질을 제안했으나, 이들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박도중 서울대병원 위장관외과 교수, 이혜승 병리과 교수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왼쪽부터) 박도중 서울대병원 위장관외과 교수, 이혜승 병리과 교수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박도중 서울대병원 위장관외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위암 혈행성 전이를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 환자별 위험도를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든 첫 사례라 의미가 있다”며 “맞춤 치료와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국제외과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최신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