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여러 개의 치아를 잃은 경우 틀니가 대표적인 대체 수단으로 사용됐다. 그러나 틀니는 시간이 지날수록 잇몸 퇴축으로 인해 유격이 발생하고, 유지력 저하와 세균 감염 위험이 높아지는 등 기능적 제약이 크다. 장기간 착용 시 잇몸 통증, 염증, 발음 불편 등의 문제가 잦아 생활 만족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치료법이 전악 임플란트(Full-arch Implant)다.

전악 임플란트는 단순히 여러 개의 인공치근을 심는 시술이 아니라, 치조골의 형태와 골질, 신경 및 혈관의 위치, 교합력과 보철물 하중 분포까지 세밀하게 고려해야 하는 고난도 수술이다. 시술 과정에서 한 치의 오차도 전체 구조의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된 의료진의 정밀한 계획과 기술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근에는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디지털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시스템이 적극 도입되고 있다. 이는 3차원 CT와 구강 스캐너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컴퓨터상에서 가상 수술을 진행한 뒤, 그 결과를 실제 시술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식립 각도, 깊이, 간격, 신경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수술 오차를 최소화하고, 출혈 및 통증 감소, 회복 기간 단축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잇몸 절개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어 당뇨나 고혈압 환자 등 전신질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전악 임플란트는 치료 범위가 넓고 환자 개개인의 구강 상태에 따라 난이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맞춤형 치료계획 수립이 중요하다. 환자의 잇몸 상태와 골밀도, 교합 구조를 정밀 분석해 최적의 위치와 개수를 결정해야 한다. 시술 후에도 보철물 유지관리와 정기 검진을 통해 잇몸뼈 변화와 교합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과정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의료진의 경험과 노하우다. 전악 임플란트는 일반 단일 임플란트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정밀성과 숙련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풍부한 임상 경험과 다양한 케이스를 보유한 의료진에게 시술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조골 상태나 신경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식립할 경우, 보철물 접합 불량이나 골융합 실패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술 전 정확한 진단과 세밀한 계획, 그리고 숙련된 의료진의 정밀한 접근이 필수적이다.
(글 : 강용욱 고르다치과의원 부산점 대표원장)
키워드
#전악임플란트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