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LK-CTL은 비조영 CT 영상에서 ‘고음영 동맥 징후(HAS)’를 인식하는 딥러닝 기반 AI 솔루션이다. HAS는 혈관 폐색을 시사하는 중요한 초기 단서지만, 미세한 특징이라 의료진 간 판독 차이가 발생하기 쉽다.
이번 연구는 국내 7개 뇌졸중 센터의 1812명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다양한 제조사의 CT 장비가 사용돼 병원 간 호환성과 실제 활용 가능성도 함께 입증됐다. AI가 측정한 혈전의 부피가 실제 뇌경색 크기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진단을 넘어 예후 예측에도 활용 가능성이 확인됐다.

류위선 제이엘케이 최고의학책임자는 “JLK-CTL은 뇌졸중 치료의 골든타임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논문은 글로벌 진출과 AI 의료기기 도입 확대의 중요한 이정표”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및 다부처 의료기기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제이엘케이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외 병원 및 보건 당국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