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민간·학계 힘 모아 교통 격차 해소와 스마트 모빌리티 전환 추진

출범식에는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과 현대차·기아 AVP본부 송창현 사장을 비롯해 정부 기관, 민간 기업, 연구 기관 등 다양한 주체가 참석해 미래 모빌리티 조성을 위한 공동 비전을 공유하고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
NUMA는 지역 간 교통 격차, 교통약자의 이동 문제 등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의 혁신, 정부의 정책, 학계의 전문성이 결합해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출발했다. NUMA는 1단계에서 지역 교통의 AI 전환을 추진하고 기술 기반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며, 2단계에서는 자율주행 기술과 미래 모빌리티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자율주행-MaaS(Mobility as a Service)를 실현하고, 3단계에서는 스마트시티 전환을 위한 AI 모빌리티 확산으로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NUMA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방형 협의체라는 점이다. 출범을 계기로 앞으로도 참여사를 지속적으로 받아들이며 경계 없는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참여 기관은 총 31곳으로, 정부 기관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경기도,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있으며, 민간 기업으로는 현대차·기아, 현대카드, KT, CJ대한통운, 네이버 클라우드, 티맵모빌리티, 한화손해보험이 참여한다. 연구 기관은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연구원이 포함된다.
현대차·기아는 협의체 운영을 총괄하며, 참여 기관 간 네트워킹과 실질적인 과제 발굴이 이뤄지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 역시 교통기본법 제정과 교통 소외 지역, 교통 취약계층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을 추진한다.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 본부장은 “자율주행과 AI는 일상을 새롭게 설계하는 거대한 변화의 흐름”이라며 “현대차·기아는 주관사이자 파트너로서 교통약자와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기술 기반의 포용적 이동권을 실현하고, 세계 도시들과 연결되는 글로벌 모빌리티 전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은 “교통은 이제 단순 인프라가 아닌 국민의 일상이자 삶을 연결하는 필수 서비스로서 국민은 누구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며 “민·관이 힘을 합쳐 교통 격차 없는 대한민국, 모두가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사회를 위해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출범식 현장에서는 교통약자를 배려한 유니버셜 디자인 차량과 나노모빌리티, 참여사의 AI 기반 교통 솔루션 등이 전시·시연돼 최신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됐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지난 20일 ‘Pleos SDV 스탠다드 포럼’을 열고 SDV 전환에 필요한 최신 기술 표준과 개발 체계를 협력사와 공유하며 소프트웨어 중심 협력 생태계 구축에도 나서고 있다.
송소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