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의료 AI 전문기업 제이엘케이가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크기를 자동 분류하는 딥러닝 알고리즘 연구 논문을 국제 학술지 Journal of Stroke에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임상 현장 활용도를 높이고, 회사 매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21년까지 4개 병원에서 수집한 1,091건의 확산강조영상(DWI)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해 뇌경색 크기를 경증, 중등증, 중증으로 자동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외부 검증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11개 병원의 1265건 DWI로 진행됐다.

결과는 전문가 판독과 87.4% 일치율을 보였으며, 코헨의 카파 값 0.81로 전문가 간 일치율(74.6%, 카파 0.62)을 상회했다. 특히, 알고리즘이 중증으로 분류한 환자에서 증상성 출혈성 변환(sHT)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경증 환자에게서는 sHT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분류 결과가 임상적 위험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의미한다.

제이엘케이, 뇌경색 부피 AI 자동 분석 논문 발표… “임상 활용 가속화로 매출 성장 기대” (사진 제공=제이엘케이)
제이엘케이, 뇌경색 부피 AI 자동 분석 논문 발표… “임상 활용 가속화로 매출 성장 기대” (사진 제공=제이엘케이)
이번 연구는 DWI 영상 기반으로 뇌경색 크기를 자동 분류하고, 중증도 예측 모델을 개발한 첫 사례다. 뇌졸중 심각도에 따라 경구용 항응고제(DOAC) 투여 시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경험이 적은 의사들도 판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이엘케이는 이 알고리즘이 원본 DWI 영상부터 분류 결과까지 평균 5초 내 처리하는 빠른 속도를 강점으로 내세웠다. 신속한 분석은 임상 연구와 실제 치료 현장 모두에서 효율성을 높여 상용화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류위선 제이엘케이 최고의학책임자는 “이번 연구는 뇌졸중 치료 최적화에 직접 기여할 성과”라며 “앞으로 CT 등 다양한 영상으로 알고리즘을 확장해 임상 활용도를 높이고,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