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산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뇌가 휴식하는 숙면 중에는 알츠하이머 원인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데, 수면이 부족하면 이 과정이 방해받는다”며 수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실제로 2021년 영국 연구에선 하루 6시간 이하로 자는 사람이 7시간 이상 자는 사람보다 치매 위험이 30% 더 높았다.

치매는 크게 퇴행성 치매와 혈관성 치매로 나뉜다. 알츠하이머병은 가장 흔한 퇴행성 치매로,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이 뇌에 쌓여 점차 기억력과 언어 기능이 저하된다. 반면 혈관성 치매는 뇌경색이나 출혈 이후 급격히 나타나 증상이 빠르게 악화된다.
이진산 교수는 “치매는 정상압수두증, 우울증, 갑상선 저하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다”며 “전체 치매 환자의 약 10%는 원인 질환 치료로 증상 개선이 가능하므로, 신경심리 검사와 뇌영상 검사로 정확한 원인 파악이 필수”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정상압수두증 환자는 뇌척수액 배액 치료로 증상이 호전될 수 있고, 갑상선 저하증에 의한 인지장애는 호르몬 치료로 개선 가능하다.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은 70여 가지에 이르며, 증상과 경과도 사람마다 다르다.
이 교수는 “환자 개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상황을 꼼꼼히 살피는 것이 치료의 열쇠”라며 “부모님의 기억력 감퇴가 의심된다면 조기 검사와 관리로 건강한 노년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