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성장기 아이를 둔 부모들의 오랜 걱정거리 중 하나는 바로 소아식욕부진이다. 흔히 '잘 먹어야 잘 큰다'는 말처럼, 충분한 영양 섭취는 아이의 신체 및 두뇌 성장에 필수적이다. 사람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그러나 김홍배 편작한의원 대표원장은 “당장의 식욕부진을 단순한 입맛 문제나 반찬 투정으로 치부해 식욕부진이 지속될 경우, 아이의 성장을 저해하는 만성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하며 빠른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한의원에서는 소아의 식욕부진을 단순히 소화기관만의 문제로 보지 않고, 비위(脾胃)의 기운이 약해진 것으로 진단한다. 여기서 비위는 소화와 흡수, 그리고 영양분을 전신으로 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장부 기능이다. 잦은 감기, 수면 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사 시간, 혹은 선천적으로 비위가 약하게 태어난 경우 등 다양한 원인으로 비위의 기운이 약해지면, 아이는 음식을 당기지 않게 되고 먹더라도 흡수율이 떨어져 성장이 늦어지게 된다.

부산 초량동 편작한의원 제공
부산 초량동 편작한의원 제공
비위의 기운이 약해진 어린이들을 보강하는 한의학적 방법은 단순히 식욕을 억지로 부산하게 높이려는 것이 아니다. 비위를 튼튼하게 해 소화 및 흡수 기능을 정상화하고, 전반적인 체력을 북돋는 데에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체질별 맞춤 한약을 처방해 소화기 기능을 강화하고 면역력을 함께 증진시킨다. 또한, 침이나 뜸 요법을 활용해 비위와 관련된 경락을 자극함으로써 기혈 순환을 돕고 식욕을 자연스럽게 되찾도록 유도한다. 여기에 더해, 이미 장기간 편식이나 소화불량으로 섭식 장애가 생긴 아이에게는 기혈을 보충하기 위한 한약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식욕부진을 어떤 포괄적인 문제로 판단해 부산하게 원인을 유추하는 것보다, 체질과 현재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아이마다 비위가 약해진 원인과 상태가 다르므로, 의료진의 진단을 통해 아이에게 꼭 맞는 치료와 생활 관리 지침을 적용해 비위의 기운을 근본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 건강한 성장의 토대가 된다.

김홍배 부산 편작한의원 대표원장은 "소아식욕부진은 단순히 입맛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의 성장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비위 기능이 떨어진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식사를 억지로 먹이는 것보다 비위의 기운을 회복시키는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