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수술 전 유방 MRI 검사가 50세 이하 유방암 환자의 재발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 환자에서 재발률이 크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젊은 환자 맞춤 치료의 근거를 제시했다.
하수민·연희라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김홍규 유방내분비외과 교수 연구팀은 2011~2017년 사이 수술을 받은 50세 미만 유방암 환자 4414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MRI 시행 여부에 따른 장기 예후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Radiology(IF 15.2)에 실렸다.
전체 환자는 MRI군(4,118명)과 비MRI군(296명)으로 나뉘었다. 평균 7.7년간 추적한 결과, 전체 재발률은 두 군 간 차이가 없었지만 동측 유방 내 재발률은 MRI군이 낮았다(1.6% vs 3.3%).
호르몬 수용체 상태별로 분석한 결과, ‘호르몬 수용체 음성’ 그룹에서 차이가 뚜렷했다. 이 그룹의 MRI군은 비MRI군보다 전체 재발률(8.2% vs 20.7%)과 동측 유방 내 재발률(2.9% vs 10.0%) 모두 낮았으며, 전체 재발 위험이 약 60% 줄었다. 반면, 호르몬 수용체 양성 환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왼쪽부터) 연희라·하수민 영상의학과 교수, 김홍규 유방내분비외과 교수 (사진 제공=서울대병원)
연구팀은 “수술 전 MRI는 특히 호르몬 수용체 음성 환자에서 정확한 종양 파악과 수술 계획에 도움이 된다”며 “젊은 환자의 재발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장기 생존율과 반대측 유방 재발률, 원격 전이 발생률 등은 MRI 시행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하수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젊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 추적 결과로, 수술 전 MRI의 예방적 가치를 명확히 보여줬다”며 “향후 환자 특성에 맞는 영상 검사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