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마일스톤은 온코닉이 지금까지 수령한 기술이전 대가 중 단일 규모로 가장 크다. 자스타프라잔은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P-CAB 계열 치료제로, 중국 시장에서 임상 3상을 마치고 신약 허가 절차에 진입했다.
온코닉은 2023년 3월 리브존과 자스타프라잔의 중화권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계약금 1500만 달러를 확보한 바 있다. 이후에도 임상 진입과 기술이전 단계에 따라 올해에만 450만 달러 규모의 마일스톤을 추가로 수령했다. 이번 NDA(품목허가 신청) 단계 진입으로 기술수출 계약이 본격적인 수익 단계에 들어섰다는 평가다.

온코닉 관계자는 “중국에서 임상부터 허가 신청까지의 진행 속도는 당사 글로벌 전략에 중요한 이정표”라며 “이번 기술이전료 확보를 계기로 인도, 멕시코, 남미 등 주요 지역에서도 상업화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온코닉은 현재 자스타프라잔의 해외 수출 계약을 총 26개국에 체결한 상태다. 중국 외에도 인도, 멕시코, 남미 19개국, 북유럽 5개국 등으로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