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허리 통증은 현대인에게 흔한 고질병 중 하나이며, 그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척추전방전위증이다. 이 질환은 척추뼈가 앞으로 밀려나 신경을 압박하며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단순한 허리 통증으로 여기고 방치할 경우, 보행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척추전방전위증은 말 그대로 척추뼈가 앞으로 밀려 나간 상태를 의미한다. 척추를 구성하는 뼈들이 퇴행성 변화, 외상, 또는 선천적인 문제로 불안정해지면서 발생한다. 특히 50대 이후 여성에게 흔한 퇴행성 변화가 주된 원인이며, 젊은 층에서는 반복적인 허리 스트레스로 인한 척추뼈의 피로골절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태진 마곡동 제이엘정형외과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이태진 마곡동 제이엘정형외과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주요 증상은 허리 통증이다. 둔하고 지속적인 통증이 느껴지며, 오래 서 있거나 많이 걸으면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밀려난 척추뼈가 신경을 압박하면 엉덩이, 다리 저림이나 방사통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허리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이라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걸을 때 다리가 저리고 아파서 오래 걷지 못하고 쉬었다 가야 하는 신경성 파행 증상도 흔히 동반된다. 심하면 허리 강직이나 다리 근력 약화가 발생할 수 있다.

치료는 증상과 전위 정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대부분의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로 충분히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약물치료, 물리치료, 신경 차단술 등으로 통증을 조절하며, 특히 허리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운동 치료는 혼자 하기보다는 의료진 지도 아래 꾸준히 코어 근육 강화 운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척추의 안정성을 높여 통증을 줄이고 재발을 방지하는 데 핵심적인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계속되거나 신경학적 증상이 심하게 악화할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척추전방전위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일상생활 습관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허리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글 : 이태진 마곡동 제이엘정형외과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