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소실된 어금니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자연치아의 저작력을 대체할 수 있는 보철 치료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어금니 임플란트이다.
어금니 임플란트는 티타늄 소재의 인공치근을 잇몸뼈에 식립하고, 그 위에 치아 형태의 보철물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어금니는 씹는 힘이 집중되는 부위이기 때문에 식립 과정에서 더욱 견고한 고정력이 요구된다. 저작 시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력이 정확히 맞아야 편안한 기능 수행이 가능하므로, 보철물의 강도와 교합 조정 또한 치료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위턱 어금니는 식립 과정이 까다로운 편이다. 상악 어금니 위에는 공기로 채워진 공간인 상악동이 위치하고 있어, 잇몸뼈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악동거상술을 통해 뼈를 보강해야만 임플란트 고정이 가능하다.

보철물 선택에도 신중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금 합금이나 PFM은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심미성 측면에서 한계를 보인다. 최근에는 지르코니아 보철물이 강도와 심미성을 동시에 갖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자연치아와 유사한 색조를 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충분한 강도를 지녀 어금니뿐 아니라 전치부에도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반면 PFM 보철물은 저작 과정에서 도자기 부분이 파절될 가능성이 있어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드는 추세다.
어금니는 강한 저작력을 담당하는 만큼, 다른 부위에 비해 임플란트 파절 위험도 상대적으로 높다. 또, 위·아래 어금니 위치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갖춘 전문의의 진단과 맞춤형 치료 계획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어금니 임플란트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정밀 진단, 적절한 뼈 보강술, 보철물의 신중한 선택, 그리고 교합 조정까지 종합적인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글 : 강용욱 고르다치과의원 부산점 대표원장)
키워드
#어금니임플란트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