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NH투자증권은 내부통제 강화 태스크포스(TFT)를 운영해 ‘신뢰 강화 대책방안’을 마련했다고 지난 9일 밝혔다.
NH투자증권이 내부통제 강화 태스크포스(TFT)를 운영해 ‘신뢰 강화 대책방안’을 마련했다. (이미지 제공=NH투자증권)
이번 대책은 기존 내부통제 시스템의 구조적인 한계를 보완하고, 점검 체계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됐다. NH투자증권은 앞으로 미공개 중요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임직원을 전사적으로 등록·인증하는 ‘미공개중요정보 취급 임직원 등록관리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에는 본부 단위로 관리되던 내부통제를 프로젝트 단위로 전환해 정보 접근 과정의 투명성과 추적 가능성을 높였다. 대상은 공개매수, 유상증자, 블록딜 등 국내 상장주식 관련 기업금융(IB)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임직원이다.
점검 과정에서는 자금세탁방지(AML) 기반 기술을 활용해 내부통제 프로젝트 관련 임직원의 계좌뿐 아니라 타사 계좌, 가족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상 거래도 점검할 예정이다. 가족 계좌는 개별 동의한 배우자와 미성년 자녀 계좌로 한정된다. 이를 통해 우회 거래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고, 사후 적발을 넘어 사전 점검이 가능한 관리 체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미공개정보 이용 위반사항이 적발될 경우에는 무관용 원칙이 적용된다. 회사는 “미공개 중요정보를 취득하고 이용, 제공, 유출할 경우 즉시 업무 배제 이상으로 징계한다”며 ‘원스트라이크 아웃’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기존에 발표한 전사 임원 대상 국내 주식 매수 금지 조치도 이번 대책에 포함해 미공개정보의 사적 활용 가능성을 차단한다.
이와 함께 익명성이 보장되는 내부 제보 제도를 활성화해 임직원의 제보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제도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는 “내부통제 강화 TFT가 구축한 신뢰 강화 대책 방안은 신뢰를 선언이 아닌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혁신”이라며, “정보관리 투명성과 내부통제 효율성을 모두 강화해 금융투자업계 신뢰 강화 기준을 새로 세우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