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농협중앙회가 2027년 3월 3일 치러질 제4회 전국 동시조합장선거를 앞두고 불법·부정선거 근절을 위한 선제 대응에 돌입했다. 농협중앙회는 “공명선거 구현을 위해 선거관리 사무국을 조기에 신설하고 선거관리 체계를 대폭 강화한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농협중앙회가 2027년 3월 3일 치러질 제4회 전국 동시조합장선거를 앞두고 불법·부정선거 근절을 위한 선제 대응에 돌입했다. (이미지 제공=농협중앙회)
전국 단위로 진행되는 동시조합장선거는 공공성과 파급력이 큰 만큼 정부의 지도·감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농협중앙회는 농축협 전반에 대한 신뢰 제고와 공정한 선거 문화 확산을 목표로 조기 대응 체계를 갖추겠다는 방침이다.
선거관리 전담기구는 선거일 기준 1년 2개월 전인 2026년 1월 1일부터 운영된다. 중앙본부 회원지원부 내에 ‘선거관리사무국’을 신설하고 기존 3명이던 선거관리 인력을 9명으로 확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의 협력 체계 및 전문성을 강화한다. 또한 각 지역본부와 시군지부에도 사무국 산하 조직을 편성해 전국 단위의 통합적 협업 구조를 구축한다.
선거관리사무국 내부에는 부정선거 상담·신고센터가 함께 운영된다. 센터는 ,부정선거 예방 지도 ,법률 상담 ,신고 접수 ,내부조사 및 고발 조치 등 선거 전 과정에서의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위반 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 체계를 마련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동시조합장선거 관련 위반 조치 건수는 감소 추세지만, 금품·향응 제공 등 중대 위반은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이에 농협중앙회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도입 등 금품선거 근절을 위한 제도 개선도 병행해 추진한다. 부정선거가 적발된 농축협 및 조합원에게는 중앙회 지원 제한, 조합원 제명 의결 지도 등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강력 대응할 계획이다.
강호동 농협중앙회 회장은 “조합장선거가 깨끗하고 공정하게 치러질 수 있도록 조직·제도·시스템 전반에서 혁신 노력을 강화하겠다”며 “조합원과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농협중앙회는 앞으로도 유관기관 및 전국 농축협과의 긴밀한 협력 아래 조합장선거의 공명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