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흡연율(일반담배(궐련))은 ’19년에 비해 남, 여학생 모두 감소하였고(남자 9.3%→6.0%, 여자 3.8%→2.7%), 전자담배* 현재사용률도 감소하였다.
* (액상형) 남자 4.7%→2.7%, 여자 1.5%→1.1%, (궐련형) 남자 4.0%→1.6%, 여자 1.2%→0.5%
현재음주율도 남, 여학생 모두 ’19년 대비 감소하였고(남자 16.9%→12.1%, 여자 13.0%→9.1%), 1회 평균 음주량이 중등도(남자 소주 5잔, 여자 3잔) 이상인 위험음주율도 감소하였다(남자 8.2%→5.6%, 여자 7.5%→4.8%).
편의점이나 가게 등에서 담배 또는 술 구매를 시도한 학생 중 살 수 있었던 구매 용이성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다(담배 69.0%→67.0%, 술 66.2%→63.5%). 특히 중학생(담배 51.2%→39.4%, 술 46.6%→36.1%)은 10%p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 신체활동 감소, 식생활 개선 필요
하루 60분 주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학생 19.9%, 여학생 7.7%로 ’19년 대비 남학생은 소폭 감소, 여학생은 7%대를 유지하였다.
최근 7일 동안 주3일 이상 조깅, 축구, 농구와 같은 고강도 신체활동을 실천한 청소년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남학생에서 감소폭이 더 컸다(남자 44.8%→ 37.8%, 여자 18.0%→16.5%). 특히 남자 중학생에서 크게 감소하였다(52.0%→40.8%).
주중 학습목적으로 앉아서 보낸 시간은 ’19년 대비 약 50분 감소한 반면(467.4분→ 416.4분), 주중과 주말 학습목적 이외 앉아서 보낸 시간은 각각 1시간, 40분 증가하였다(주중 167.3분→ 229.7분, 주말 284.1분→324.7분).
주5일 이상 아침식사 결식률은 증가 추이를 유지하며, ’19년 대비 증가하였고(35.7%→37.3%), 여학생(39.2%)이 남학생(35.5%)보다 더 높았다.
주3회 이상 단맛음료 섭취율(50.4%→45.8%)과 탄산음료 섭취율(37.0%→ 35.5%)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았고, 패스트푸드 섭취율은 ’19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25.5%→25.4%).
· 청소년 손 씻기 실천은 증가하였으나, 칫솔질 실천율은 감소
학교 또는 집에서 비누이용 손 씻기 실천율이 ‘19년 대비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외출 후 집에 돌아왔을 때 비누 이용 손 씻기 실천율은 ‘19년에 비해 12.0%p 증가하였고(77.4% → 89.4%),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남자 87.8%, 여자 91.1%).
학교에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다(남자 24.9%, 여자 40.8%).
· 우울감 경험, 수면 충족감 개선, 스마트폰 과의존은 4명 중 1명
정신건강 지표인 스트레스 인지율은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남자 28.1%, 여자 40.7%). 우울감 경험률도 ’19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여학생에서 감소폭이 더 컸다(남자 22.2%→20.1%, 여자 34.6%→30.7%).
주관적 수면충족률도 ‘19년 대비 남, 여학생에서 크게 증가하였고(남자 26.9%→34.7%, 여자 15.4%→25.6%),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높았다(중학생 35.7%, 고등학생 25.0%).
‘20년 스마트폰 과의존 선별도구를 도입하였고, 청소년 4명 중 1명은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적 위험군 이상(40점 만점 23점 이상)이었고(25.5%),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남자 21.2%, 여자 30.0%).
2. 조사 결과의 의의
교육부 조명연 학생건강정책과장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시행으로 학교 건강관련 예방교육과 생활지도가 어려웠던 점을 감안할 때,
본 조사에서 나타난 건강 관련 행태변화가 학생 건강에 미칠 영향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 적극적인 지도, 교육이 학교와 가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20년 조사에서 청소년의 흡연, 음주지표가 개선되었고 신체활동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코로나19의 영향인지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건강행태 변화의 장기적 영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청소년 정신건강을 살펴보고자, 외로움 경험 문항과 범불안장애 조사도구를 추가, 2021년까지 조사하여 정신건강 변화에 대해 심층 분석할 계획이다.”
“이번 주요결과와 함께 공개되는 원시자료가 관련 분야 통계생산이나 연구에 잘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상세 보고서는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누리집에 원시자료와 함께 공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