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성형수술은 외적인 변화를 통해 자신감을 얻기 위한 선택이지만, 그 결과로 남게 되는 흉터는 또 다른 고민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피부가 안으로 움푹 꺼지는 형태의 위축 흉터는 자연적으로 개선되기 어려워 새로운 콤플렉스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이러한 위축 흉터는 손상된 피부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진피층 재생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발생한다. 콜라겐 조직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거나 유착된 채로 굳어버리면 피부가 함몰된 상태로 남게 된다.

그런데 오늘날 이뤄지는 성형수술은 대부분 쌍꺼풀 수술, 앞트임, 코 성형, 안면윤곽 등 얼굴 부위에 집중돼 있다. 눈가처럼 피부층이 얇은 부위에는 위축 흉터가 남게 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성형수술 후 시간이 지나도 움푹 팬 피부가 회복되지 않는다면 적극적인 흉터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위축 흉터는 패인 조직의 깊이와 넓이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수민 로담한의원 원장
이수민 로담한의원 원장
보통은 레이저 시술, 서브시전, 필러 주입 등을 조합해 치료를 시도한다. 그런데 치료 과정에서 정상적인 피부 조직에 과도한 자극이 가해지거나 애당초 피부 재생력 자체가 약한 경우라면 기대했던 만큼의 개선 효과를 보지 못할 수 있다. 실제로 시술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흉터가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거나 오히려 조직이 더 단단해지는 듯한 느낌을 받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한방 흉터 치료, 이른바 '새살침 코라테라피'가 관심을 받고 있다. 침을 이용해 위축된 흉터 조직을 자극하고, 피부의 자연 회복 메커니즘을 유도하는 것이다. 피부과에서 사용하는 ‘서브시전’과 유사한 원리로, 유착된 조직을 끊고 진피층에 공간을 만들어 콜라겐 생성을 유도해 흉터를 재생시키는 방식이다.

이 치료는 성형수술 흉터, 여드름 흉터, 수두 자국, 점 제거 부위 등 다양한 함몰 흉터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수술 후 4~6주 이내처럼 흉터 조직이 굳기 전 조기 치료 시 회복 반응이 더 빠르고 효과적이다.

새살침은 비교적 미세한 침을 사용해 자극을 최소화하며, 흉터 조직의 깊이뿐 아니라 색조까지 개선해 주변 피부와의 이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처럼 새살침 코라테라피는 단순히 흉터를 ‘가리는’ 치료가 아니라, 피부가 스스로 새살을 만들어내는 회복 환경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존 치료법에 한계를 느끼거나 반복된 시술에도 큰 변화를 경험하지 못했다면, 위축 흉터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고려해 볼 만하다.

(글 : 이수민 로담한의원 원장)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