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오늘날 이뤄지는 성형수술은 대부분 쌍꺼풀 수술, 앞트임, 코 성형, 안면윤곽 등 얼굴 부위에 집중돼 있다. 눈가처럼 피부층이 얇은 부위에는 위축 흉터가 남게 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성형수술 후 시간이 지나도 움푹 팬 피부가 회복되지 않는다면 적극적인 흉터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위축 흉터는 패인 조직의 깊이와 넓이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한방 흉터 치료, 이른바 '새살침 코라테라피'가 관심을 받고 있다. 침을 이용해 위축된 흉터 조직을 자극하고, 피부의 자연 회복 메커니즘을 유도하는 것이다. 피부과에서 사용하는 ‘서브시전’과 유사한 원리로, 유착된 조직을 끊고 진피층에 공간을 만들어 콜라겐 생성을 유도해 흉터를 재생시키는 방식이다.
이 치료는 성형수술 흉터, 여드름 흉터, 수두 자국, 점 제거 부위 등 다양한 함몰 흉터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수술 후 4~6주 이내처럼 흉터 조직이 굳기 전 조기 치료 시 회복 반응이 더 빠르고 효과적이다.
새살침은 비교적 미세한 침을 사용해 자극을 최소화하며, 흉터 조직의 깊이뿐 아니라 색조까지 개선해 주변 피부와의 이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처럼 새살침 코라테라피는 단순히 흉터를 ‘가리는’ 치료가 아니라, 피부가 스스로 새살을 만들어내는 회복 환경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존 치료법에 한계를 느끼거나 반복된 시술에도 큰 변화를 경험하지 못했다면, 위축 흉터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고려해 볼 만하다.
(글 : 이수민 로담한의원 원장)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