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인수 대상은 미국 제약산업 중심지에 위치한 대형 원료의약품(DS) 생산시설로, 항암제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생산해온 현지 가동 중 공장이다. 셀트리온은 해당 공장을 통해 미국 관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현지 생산 기반을 확보하게 될 전망이다.
공장 인수가 완료되면, 미국 시장에서 판매 중인 셀트리온 주요 제품을 현지에서 직접 생산할 수 있게 돼 의약품 관세 부담이 완전히 사라진다. 이번 인수는 지난 5월 서정진 회장이 밝힌 미국 관세 대응 전략의 핵심 단계로, 그간 추진해온 미국 재고 확보, 현지 CMO 확대에 이어 관세 헤지의 종착점에 해당한다.

셀트리온은 증설 이후 원료(DS)부터 완제품(DP), 포장, 물류까지 전(全) 주기 공정을 미국 현지에서 소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제조원가와 물류비를 절감하고, 제품 공급 속도와 유연성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 측은 “현지 생산체제 구축으로 미국 관세 리스크를 조기 해소하고, 생산부터 유통까지 직접 통제 가능한 구조를 완성할 것”이라며 “주요 제품의 시장 점유율 확대와 함께, 글로벌 전략의 전환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