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SNS를 중심으로 ‘뼈팔’ 같은 극단적으로 마른 체형이 미의 기준으로 퍼지고 있다며, 이에 따른 건강 위해에 경각심을 당부했다.

‘뼈팔’은 팔 뼈가 도드라져 보일 정도로 마른 체형을 뜻하며, 정상 체중에서 크게 벗어난 왜곡된 신체 이미지다.

SNS에는 아이돌과 인플루언서 등 유명인의 마른 몸매가 이상적인 모습으로 확산되고 있고, 일부 의료기관은 ‘뼈팔’, ‘뼈말라’ 키워드를 활용해 지방흡입 등 시술을 홍보하는 상업적 마케팅도 진행 중이다.

이런 유행은 극단적인 체중 감량과 섭식장애 위험을 키우며, 신체뿐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7월 건강정보 팩트체크(건강한 체중관리) 카드뉴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제공)
7월 건강정보 팩트체크(건강한 체중관리) 카드뉴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섭식장애 진단 환자는 2020년 9474명에서 2023년 1만 3129명으로 약 39% 늘었다.

문종윤 가천대 교수는 “극단적인 저체중은 생리불순, 골다공증, 당뇨병 등 신체질환을 유발하며, 섭식장애 같은 정신질환도 초래할 수 있다. 청소년은 왜곡된 체형 기준에 쉽게 영향받아 장기적인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발원은 올바른 체중 관리를 위해 정해진 시간에 식사, 식사 중 다른 활동 금지, 규칙적 운동, 하루 음식과 활동량 비교를 권장한다.

김헌주 원장은 “‘뼈팔’ 등 왜곡된 신체 이미지는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다. 청소년과 여성에게 특히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단순한 유행으로 넘겨서는 안 된다”며, “앞으로도 건강 위해정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올바른 체중 관리 인식을 확산하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