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암환자의 임종기 응급실 방문을 줄이려면 완화의료 외래를 더 일찍 시작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신혜·정예설 서울대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교수팀은 완화의료 외래 개입 시점과 임종기 응급실 이용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입 시점이 한 달씩 빨라질수록 임종기 응급실 방문 가능성이 1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완화의료 외래로 의뢰된 시점에 따른 임종기 응급실 방문 및 재방문 횟수. 사망 전 1개월 이내 완화의료 외래로 의뢰된 환자의 방문 및 재방문 횟수가 가장 많고, 의뢰 시점이 빨라질수록 임종기 응급실 방문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남. (서울대병원 제공)
완화의료 외래로 의뢰된 시점에 따른 임종기 응급실 방문 및 재방문 횟수. 사망 전 1개월 이내 완화의료 외래로 의뢰된 환자의 방문 및 재방문 횟수가 가장 많고, 의뢰 시점이 빨라질수록 임종기 응급실 방문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남. (서울대병원 제공)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대병원 완화의료 외래에 의뢰된 진행암 환자 3,5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체 환자 중 25%가 외래 이후 응급실을 이용했고, 임종기에는 약 10%가 응급실을 찾았다. 기존 보고된 임종기 응급실 이용률(약 45%)에 비해 절반 이하로 낮은 수치다.

연구팀은 “완화의료 외래 개입이 빠를수록 증상 관리, 돌봄계획 수립, 응급상황 대비가 충분히 이뤄진다”며 “결국 응급실 방문 자체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완화의료 외래는 단순한 말기 진료가 아니다. 통증·호흡곤란 등 증상 조절부터 연명의료계획서 작성, 향후 치료 방향 논의까지 진행된다. 특히, 외래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비율은 51%에 달했고, 응급실 방문자의 20%도 현장에서 문서를 작성해 실제 임상 의사결정에 영향을 줬다.

한편, 항암치료가 예정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임종기 응급실 방문 가능성이 2.6배 높았다. 치료 지속 여부와 별개로 돌봄 방식 전환 논의가 필요한 이유다.

(왼쪽부터) 유신혜·정예설 서울대학교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왼쪽부터) 유신혜·정예설 서울대학교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유신혜 교수는 “아직까지 국내 완화의료는 대부분 말기 환자에 국한돼 있다”며 “지금 필요한 건 더 빠르고, 더 넓은 접근”이라고 말했다. 이어 “외래 기반 완화의료를 제도권 안에서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인력·수가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환자 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JAMA Network Open』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