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세브란스병원이 원인을 알기 어려웠던 뇌척수액 정맥 누공 환자 4명의 진단과 치료에 국내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질환은 뇌척수액이 비정상적인 통로를 통해 척수 주변 정맥으로 새어 나가면서 뇌의 압력이 낮아져 두통, 인지기능 저하, 보행장애 등을 유발한다.

기존 검사인 척추 MRI와 단순 척수 조영술로는 누출 부위를 확인하기 어려워 정확한 진단과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환자들은 자가혈액패취술 등의 치료에도 효과를 보지 못했고, 경막하출혈로 인해 보행이 어려운 상태였다.

(왼쪽부터) 하우석·주민경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하윤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 (사진 제공=세브란스병원)
(왼쪽부터) 하우석·주민경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하윤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 (사진 제공=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병원은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한 디지털 감산 척수조영술(DSM)과 측위 CT 척수 조영술을 활용해 뇌척수액 누출 부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찾아냈다. 신경과와 신경외과 전문의가 협력해 원스톱 진단과 치료를 시행한 결과, 환자들의 뇌압이 정상으로 회복되고 경막하출혈과 증상도 개선됐다.

이처럼 다학제 진료와 첨단 3D 검사법 도입이 기존 진단과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우석 교수는 “뇌척수액 누공은 원인 파악이 어려워 치료가 힘들었지만, 세브란스의 새로운 검사법 덕분에 정확한 위치를 찾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