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삼성전자가 오늘(25일) 2026년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는 부사장 51명, 상무 93명, 펠로우 1명, 마스터 16명 등 총 161명을 승진시킨 규모다. 지난해 11월 총 137명(부사장 35명, 상무 92명, 마스터 10명) 승진과 비교해 규모가 확대됐으며, 급변하는 산업 패러다임 속에서 미래 기술 경쟁력 확보에 방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삼성전자, 2026년 정기 임원 인사 실시 (이미지 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는 AI, 로봇, 반도체 등 미래 사업의 핵심 분야에서 기술 성과를 입증한 인재들을 대거 중용했다.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주요 사업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한 인력 중심으로 승진 인사를 실시해 성과주의 인사 원칙을 유지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과감한 세대교체를 통해 젊은 리더를 전면에 세우며 차세대 경영진 육성 의지를 드러냈다.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승진 사례도 제시됐다. DX부문에서는 Samsung Research Data Intelligence팀장 이윤수 부사장이 개인화 데이터 플랫폼 및 AI 서비스 최적화 성과를 인정받아 승진했다. 같은 부문의 MX사업부 Language AI Core기술개발그룹장 이성진 부사장도 생성형 AI 핵심기술 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기술 리더십을 확립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에서도 핵심 인재들이 잇달아 승진했다. 메모리사업부 Solution플랫폼개발팀장 장실완 부사장은 SSD 펌웨어·아키텍처 개발 성과를, System LSI사업부 SOC선행개발팀장 박봉일 부사장은 Custom SOC 제품 개발 리더십을 인정받았다. 반도체 소자 및 패키지 분야에서도 DRAM·HBM·V-NAND·Advanced PKG 등의 개발 경쟁력을 확보한 전문가들이 다수 승진했다.
삼성전자는 AI·로봇·반도체 중심 미래 기술 전략을 신속하게 실행하기 위해 성과와 역량이 입증된 인재를 선제적으로 등용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연공 중심이 아닌 경영성과와 성장 잠재력 기반의 승진을 통해 30대 상무·40대 부사장 등 젊은 리더를 적극 발탁하며 미래 경영진 후보군을 강화했다. 성별·국적 등과 관계없이 역량을 기반으로 인재를 선발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 점도 이번 인사의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2026년 정기 임원 인사를 통해 경영진 구성을 마무리했으며, 향후 조직개편과 보직 인사를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