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대한결핵협회, 마이허브와 함께 11월 6~8일 경남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BEXPO 2025’에서 AI 기반 흉부 엑스레이를 활용한 ‘폐건강 체크버스’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고령화 시대 건강 수명 연장과 항노화 산업 혁신을 소개하는 자리로, 첨단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한 조기 질병 발견 사례가 주목을 받았다. 창원은 고령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섰으며, 심혈관 및 폐 질환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수도권 중심의 헬스케어 접근성을 지방으로 확대하기 위해 이번 캠페인을 진행했다.
박람회 기간 약 570명이 폐건강 체크버스를 체험했으며, 검사 결과 전체 수검자의 42%가 폐 결절 등 이상 소견을 확인했다. 특히 5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 수검자의 57%를 차지했으며, 이상 소견자 중 일부는 폐암 가족력을 가지고 있었다. 전문의 판독 결과는 일주일 내 개별 통지될 예정이다.
폐암은 초기 증상이 미미해 조기 발견이 어려우나, 국한된 병기에서 발견 시 생존율은 79.8%까지 상승한다. 현재 국가 폐암 검진은 고위험 흡연자 중심으로 시행되지만, AI 기반 흉부 엑스레이는 비흡연자와 저위험군도 폐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실질적 수단으로 평가된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AI 폐건강 체크버스로 창원 시민 검진 지원 (사진 제공=한국아스트라제네카)
안지영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전략총괄 전무는 “폐건강 체크버스는 AI 기술을 통해 국민이 쉽게 조기 검진을 받을 수 있는 모델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협력과 실천을 통해 폐암 조기 진단 인식을 높이고 공중 보건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신민석 대한결핵협회 회장은 “이번 캠페인을 통해 시민이 폐 건강을 쉽게 점검하고 질병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마이허브 양혁 대표는 “AI 기반 폐건강 체크버스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실제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글로벌 폐암 비영리 협력체 ‘Lung Ambition Alliance(LAA)’ 일원으로, 폐암 인식 개선과 조기 진단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국내 AI·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과 협력해 실제 임상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혁신적 헬스케어 모델 구축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