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15:52
원자력병원이 74세 고령 환자를 대상으로 전립선암과 신장암을 동시에 제거하는 로봇 수술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두 부위의 암은 발생 기전이 다른 별개의 질환으로, 동시에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다. 일반적으로는 두 차례에 나눠 수술하지만, 고령 환자에게 반복 마취는 부담이 크기 때문에 수술을 한 번에 진행하는 방식이 고려된다.수술을 집도한 송강현 비뇨의학과 전문의는 국산 수술 로봇 ‘레보아이’를 활용해 신장 부분 절제술과 전립선 적출술을 연달아 시행했다. 총 수술 시간은 약 4시간으로, 마취와 회복 부담을 최소화했다.병원 측에 따르면 레보아이로 두 가지 고난도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통해2025.08.25 15:37
장기육·이관용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연구팀이 만성신장질환을 동반한 급성심근경색 환자에서 항혈소판제 감량 전략이 출혈 위험을 크게 줄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JAMA Network Open 최근호에 게재됐다.연구팀은 급성심근경색 환자 34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TALOS-AMI’ 임상시험 중 만성신장질환(CKD)을 동반한 환자 305명을 추출해 분석했다. 이들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후 1개월간 티카그렐러 기반의 이중 항혈소판요법(DAPT)을 유지한 뒤, 이후 11개월간 티카그렐러를 지속 복용한 대조군(145명)과 클로피도그렐로 감량한 실험군(160명)으로 나눠 비교 관찰했다.그2025.08.25 15:33
성장 완료 이후 치료가 까다로운 성인 주걱턱에 대해 수술이나 발치 없이 교정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이 제시됐다.이유선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교정과 교수와 국윤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연구팀은 악교정수술이나 소구치 발치 없이도 하악지 플레이트(ramal plate)와 상악 구개판(MCPP)을 활용해 전체 치열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주걱턱을 교정한 사례를 국제 학술지에 보고했다고 밝혔다.이 증례 논문은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Clinical Companion 2025년 8월호에 게재됐으며, ‘이달의 케이스(The Case of the Month)’로 선정됐다.기존에는 성인 주걱턱 치료 시 발치를 통2025.08.25 15:03
국내 연구진이 유전성 난청을 유발하는 대표적 돌연변이(MPZL2 c.220C>T)를 한 번의 유전자 교정으로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자체 개발한 염기교정 유전자가위를 활용해 인간화 마우스에서 청력을 회복시킨 첫 사례로, 정밀 유전자 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준 의미 있는 성과다.이상연 서울대병원 소아이비인후과 교수와 배상수 서울의대 생화학교실 교수 공동연구팀은 돌연변이를 가진 인간화 마우스를 제작하고, 교정 유전자가위를 1회 주사해 청력 회복과 조직 복원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해당 변이는 동아시아 인구에서 유전성 난청의 약 10%를 차지하는 흔한 원인으로, 정상 아미노산 코드를 종결 신호로 바꾸는 넌센스(nonsense) 변이다2025.08.25 14:44
김태엽 건국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대한마취환자안전협회 초대 회장에 취임했다고 밝혔다.올해 5월 창립된 협회는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를 중심으로 구성된 다학제 전문가 단체로, 국내 수술 환자의 안전 보장을 위한 표준 마련과 안전 문화 확산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인증 평가 사각지대에 있는 중소 의료기관의 마취 환경 개선에 주력할 계획이다.김 교수는 “마취 안전은 단순한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 조건”이라며 “국내 전신마취 시술 중 상당수가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시행되고 있지만, 안전 인프라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이어 “일부 성형외과 의원은 화려한 외형과 달리, 마취 장비가2025.08.25 14:30
렘수면 중 고함이나 발차기 같은 격렬한 움직임을 보이는 ‘렘수면 행동장애’가 파킨슨병의 조기 징후일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 가운데, 해당 증상이 장내 미생물 환경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정선주·조성양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파킨슨병 환자 104명과 대조군 85명을 대상으로, 렘수면 행동장애(RBD) 유무에 따른 장내 미생물 구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 결과는 SCI급 국제 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IF 12.7)에 게재됐다.분석에 따르면, 파킨슨병 진단 전 RBD를 경험한 환자들은 질병 초기부터 장 점액층을 분해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아커맨시아(Akkermansia), 에쉬리키아(2025.08.25 14:24
ㅍ동안신경마비 환자에게 동작침법(MSAT)을 포함한 한의통합치료가 기존 회복 기간보다 2배 이상 빠른 증상 개선을 이끌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는 43세 여성 동안신경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6주간 동작침법 중심의 한의통합치료를 실시한 결과, 1개월 반 만에 눈꺼풀 올림 기능과 사시 증상이 정상에 가깝게 회복됐다고 25일 밝혔다. 해당 연구는 SCI(E)급 국제학술지 ‘메디신(Medicine, IF=1.4)’에 게재됐다.동안신경마비는 눈꺼풀 처짐, 복시, 동공 확대 등 증상을 동반하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준다. 환자는 기존 양방 치료에도 4주간 호전이 없었으나, 한방치료 후 빠른 회복을 보였다.동작침법은 침을 맞2025.08.25 13:29
최근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을 활용한 시술, 일명 PRP주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PRP주사는 환자의 혈액에서 혈소판을 농축해 관절 질환 부위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조직 재생과 치유에 도움을 줄 수 있다.송한의 녹색병원 정형외과 과장은 “PRP는 자가 성분을 활용해 부작용이 거의 없지만, 환자 상태나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며 “세밀한 진단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회복 돕는 혈소판, 치료 범위는 제한적혈소판은 지혈과 상처 치유에 관여하는 성분으로, PRP주사는 이 혈소판을 고농도로 추출해 손상 부위에 주입한다. 시술은 간단하며, 마취 없이 외래에서 약 30분 내 진행된다. 회복도2025.08.25 13:26
성장기 아이들의 무릎이나 다리뼈는 아직 자라는 중이라, 수술 시 성장판 보호가 중요하다. 특히 무릎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나 성장판 관련 수술에선 뼈에 작은 구멍을 내게 되는데, 이 구멍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그동안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박병규 해운대백병원 교수와 박건보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교수 연구팀은 토끼 실험을 통해 이 작은 구멍의 위치와 재료가 뼈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는 2025년 3월, 국제학술지 Bone & Joint Research에 실렸다.연구팀은 성장기 토끼 정강이뼈에 성장판에서 각각 5mm, 10mm, 15mm 떨어진 지점에 구멍을 만들고, 여기에 다양한 재료를 채워 성장 변화를 비교했다.2025.08.22 11:51
정대철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소아특발성관절염(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JIA)’의 유병률과 발생률을 규명했다고 밝혔다.소아특발성관절염은 16세 미만 소아에게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관절질환으로, 6주 이상 관절통과 부종, 운동 제한이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부 환자는 안구 염증으로 시력 저하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 질환에 대한 역학 정보가 부족해, 조기 진단과 치료 기준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정 교수팀은 세브란스병원 안종균 교수, 가톨릭의대 민은정 교수와 공동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0~2019년 청구 빅데이터를 분석해, 진단2025.08.22 11:26
김종열 좋은삼선병원 척추센터 센터장은 디스크 질환 치료에서 ‘최소침습 척추수술’이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고 밝혔다.최소침습 척추수술은 0.5~3cm 정도만 절개해 신경을 압박하는 뼈나 인대 조직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미세현미경이나 내시경을 활용해 주변 조직 손상을 줄이는 것이 특징이다.기존 개방형 수술은 넓은 절개가 필요해 회복에 시간이 걸리고, 근육 손상으로 인한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었다. 반면 최소침습 수술은 절개 범위가 작고, 출혈과 통증이 적어 일부 환자에게는 더 적합한 선택지가 될 수 있다.특히 고령자, 만성질환자처럼 전신 상태에 부담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이 수술은 척추관 협2025.08.22 11:07
안지용 서울부민병원 과장이 하버드 의대 및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과 공동 연구한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치료 논문이 SCIE급 국제학술지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최신호에 실렸다고 밝혔다.연구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환자 180명을 대상으로 프레가발린, 가바펜틴, 둘록세틴 3종 약제의 6주 치료 효과와 부작용을 비교했다. 특히 환자의 당화혈색소(HbA1c) 수치에 따른 맞춤 약제 선택 가이드를 제시해 임상적 의미가 크다.연구 결과, 둘록세틴과 프레가발린이 통증 완화 효과가 뛰어났고, HbA1c 수치가 8.7 이상인 환자는 프레가발린 또는 가바펜틴, 10.7 이상인 환자는 프레가발린이 적합했다. 혈당 조절이 잘2025.08.22 10:13
제주대학교병원(병원장 최국명)이 보건복지부의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로 선정된 인공관절 수술 시스템 ‘니비게이트(Navigate)’의 임상연구에 참여한다고 밝혔다.‘니비게이트’는 MRI 영상 분석, 인공지능(AI), 의료진 협업이 결합된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 플랫폼이다. 이번 임상은 기술의 안전성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제주대병원 정형외과 최성욱 교수팀이 주도하며 2년간 진행된다.이 연구에는 제주대병원을 포함해 서울대 보라매병원, 세브란스병원(신촌·강남·용인), 은평성모병원, 이대서울병원, 이대목동병원, 인하대병원 등 전국 주요 상급종합병원이 함께 참여한다.니비게이트는 MRI로 연골 상태를 3D로 정밀 구현